이를 위해 정부는 17일 오전 청와대에서 반기문 외교통상, 정세현 통일 장관을 포함한 통일.외교.안보 관련 부처 장관 및 차관들이 참석한 가운데 고위급 대책회의 를 열어 3차 6자회담 대책을 집중 협의하고 있다고 정부 관계자가 전했다.
이날 회의에서 외교부는 지난 13∼14일 워싱턴D.C.에서 열린 한.미.일 3자협의 회 협의 결과와 함께, 이번 회담에 임하는 대책을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참석자들은 이번 회담에서도 '구체적이고 실질적' 성과가 없을 경우 6자회담 무용론이 제기될 우려가 있는 만큼 북-미 양측으로부터 최소한의 절충점을 마련하는데한국이 더욱 적극적 역할을 해야 한다는데 의견을 모은 것으로 전해졌다.
참석자들은 또 지난 2월 2차 회담에서 우리가 제의한 북핵 3단계 해결방안이 어느 정도 관련국들로부터 호응을 받고 있다고 보고, 3차 회담에서는 북한이 'CVID'(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방식의 핵폐기) 원칙을 수용하는 대신, 한.중.러 등 일부 참가국이 북한에 중유 제공을 포함한 획기적인 에너지 지원 및 경제지원 프로그램을 제시하는 방안을 집중적으로 협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관계자는 "6자회담 대책을 논의하기 위해 관련 부처 장.차관들이 대부분모였다"며 "이번 3차회담에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성과를 도출해내는데 우리 정부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 지 등의 문제를 협의 중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일부 외신들은 미 국무부 고위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미국은 이번 회담에서 북한이 CVID 원칙을 수용하고 핵동결이 핵프로그램 제거의 단계라는 점을 분명히 할경우 핵동결 단계에서부터 관련국들이 에너지.경제지원을 하는 것을 반대하지 않는 다는 입장을 정리했다고 보도했다.
한편 이수혁 외교부 차관보와 조태용 북핵외교기획단장 등은 지난 번 한.미.일3자협의회에 참석한 뒤 16일 오후 귀국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