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김범현기자 = 정부는 16일 제60차 유엔인권위원회의 대북 결의 안에 대한 표결 기권과 관련, "지난해는 표결에 불참, 입장을 밝힐 기회가 없었지만이번에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외교통상부 오 준(吳 俊) 국제기구정책관은 이날 오전 외교부 청사에서 가진 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히고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한국 정부의 입장을 밝히지 않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판단을 했다"고 덧붙였다.

오 국장은 "기권도 하나의 입장표명으로, 기권 이유를 설명하는 기회를 갖는다는 점에서 불참과 차이가 있다"며 "북한의 인권상황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고 남북관계 개선이 북한의 인권개선에 궁극적으로 기여한다는 점에서 기권한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표결 기권에 앞서 북한과 별도 접촉을 가졌느냐'는 질문에 대해선 "이 문제와 관련해 접촉한 사실은 없다"고 답했다.

그는 아울러 이번 결의안 채택을 통해 임명될 북한인권담당 특별보고관과 관련,"결의안에 따르면 오는 9월 제59차 유엔총회에서 특별보고관의 보고가 있을 예정이 므로 조만간 임명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그는 특별보고관 활동에 대해서는 "유엔총회나 유엔인권위가 강제적 권한을 갖고 있지 않은 만큼 해당 국가의 자발적 협조에 근거해 활동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하지만 북한의 직접적 협조가 없더라도 탈북자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정보를 입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