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현 통일부 장관은 25일 오전 내외신 기자브리핑을 갖고 중국 탈북자 수용소에서 일부 탈북자들이 단식 농성중이라는 보도에 대해 "여러 가지 보도가 나오고 있지만 시간이 가면서 조금씩 진실에 가까운 쪽으로 보도가 되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해 이와 관련한 보도에 있어 '과장'의 여지가 일부 있었음을 시사했다.

정 장관은 그러나 중국 당국의 단속에 걸린 탈북자들이라 할지라도 "어쨌든 인도적인 대우를 받아야 한다"며 "본인의 의사에 반해서 강제로 송환 조치된다는 것은 인도주의 원칙에 어긋난다"고 말했다. 덧붙여 "한국행을 희망하는 경우에 정부로서는 한국으로 올 수 있도록 최대한 여러 가지 편의를 제공하고 중국당국과 협조한다는 것이 96년 이후 확정되고 지금까지 지켜지고 있는 원칙"이라고 설명했다.

정세현 장관은 25일 미군 전문지 '성조지'가 최근 1994년 이후 가장 많은 미국 해병대 병력이 한반도통합훈련에 참가하고 있는 것은 '대북 평화협상을 위한 유인책'이라고 보도한 것과 관련해 "계획적으로 그에 대해 의미부여를 하는 것에 대한 의도에 대해 좀더 분석을 해 봐야 하겠지만, 직접적으로 북한이 6자회담에 성의있게 나오도록 그렇게 압박을 가한다고 해석까지 해버리면 그게 카드가 될지 모르겠다"고 일축했다.

한미연합훈련과 관련해 조선 인민군 판문점 대표부에서 14일 첫 반응을 보인 것과 관련해 "유엔사 채널을 통해서 북쪽에 이 훈련에 대해서 정식으로 통보를 했기 때문에 그 자격을 가지고 대응을 했다"고 본다고 말했다.

또 군사훈련을 이유로 회담 일정이 연기된 것과 관련, "그쪽이 얘기한 대로"라며 "그동안 군사훈련 기간 중에도 회담이 진행했던 적도 있고, 안된 적도 있"으며 "이번에는 12일 이후 탄핵정국을 가지고 문제를 삼았기 때문에 그 연장선상에서 군사훈련은 북쪽으로서는 상당히 중요하게 고려할 수 있는 변수가 됐다"고 본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최근 탄핵정국과 한미연합훈련 등으로 주춤하고 있는 남북관계에 대해 실무회담은 연기됐으나 이산가족 상봉은 예정대로 진행되는 것으로 가닥이 잡혔다며 지난주의 강경한 어조와 달리 큰 흐름에서 긍정적으로 낙관했다.

이날 브리핑은 특별한 현안이 없어 장관의 모두발언이 없이 간단한 질의응답으로 마무리됐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