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강진욱기자 = 제2차 6자회담 기간에 일시 거론됐던 대북 에너지 지원론이 다시 나오고 있다.

이달 중 방북할 예정인 모리스 스트롱(Morris Strong) 유엔 대북 특사는 4일 NHK와 인터뷰에서 북 핵 문제 해결을 전제로 북한에 천연가스 파이프라인(PNG) 건설을 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러시아에서 천연가스 파이프라인을 연결해 북한 뿐만 아니라 중국과 한국,일본 등지에 공급하는 계획이 검토되고 있다"고 소개했다.

스트롱 특사는 지난해 9월에도 이타르-타스 통신과 회견에서 러시아의 천연가스공급이 북핵 사태 해결을 위한 열쇠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도널드 그레그(Donald Gregg) 전 주한미국 대사도 대북 에너지 지원 가능성을 언급하고 있다.

그레그 전 대사는 1일 미국의 자유아시아방송(RFA)과 회견에서 남한과 러시아 등이 북한의 핵 동결 조치에 상응해 전력 지원에 나서더라도 미국은 이에 반대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북 핵 문제가 해결의 실마리를 보이지 않는 현 상태에서 스트롱 특사나 그레그전 대사의 발언에 크게 기대할 수는 없다.

그러나 6자회담이 열리던 지난달 26일 정세현(丁世鉉) 통일부 장관은 중유 공급등 대북 에너지 지원과 관련, "시작을 하자는 정도까지는 얘기가 되어 있다"고 말한바 있어 북한의 핵 동결 조치와 동시에 대북 에너지 지원이 현실화될 가능성은 있어보인다.

정 장관도 '북 핵 동결'과 에너지 지원에 대해 "핵 폐기가 시작된다는 것이 확실히 되어야만 줄 수 있다는 입장"이라며 "동결에서 폐기로 가는 시간표가 나와야한다"고 말한 바 있다.

이는 곧 열릴 워킹그룹 회의에서 북 핵 동결에서 폐기로 가는 일정이 확실해지면 한국과 러시아 등이 북한에 에너지를 지원할 수 있다는 뜻으로 이해된다.

북한이 2차 회담에 대해 '불만족스럽다'고 말하면서도 예전처럼 '핵 억제력 강화' 발언을 삼가고 있는 것도 앞으로 열릴 워킹그룹 회의와 에너지 지원에 대한 기대 때문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는 것도 이같은 배경을 깔고 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