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장용훈 기자 = 2일로 창립 35주년을 맞는 통일부는 2000년 정상회담 이후 변화하는 남북관계를 실감하며 바쁜 일정을 보내고 있다.

창립기념식이 열리는 이날에도 정세현(丁世鉉) 통일부장관은 오전 10시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원회에 출석해 대북지원과 개성공단 건설 지원을 위한 남북협력기금 사용을 보고하는데 이어, 오후 7시부터는 남북경제협력추진위원회 제8차 회의에 참가하는 남북 양측 대표단을 위한 환영만찬을 주최한다.

통일부 직원의 상당수도 오후 2시 기념식에 참석한 뒤 경협위가 열리는 그랜드힐튼 호텔로 이동해 본격적인 회담 지원에 들어간다.

통일부는 1969년 창설 당시 국토통일 연구기관으로 시작해서 1980년대 당시 중앙정보부로부터 남북회담업무를 이관받아 대북정책업무를 종합적으로 담당할 수 있는 틀을 갖췄으며 2000년 정상회담 이후 남북관계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참여정부 들어서면서 대북송금 문제가 불거지고 대북정책의 투명성 제고라는 국민적 요구가 커짐에 따라 남북간 대화와 경제협력, 사회문화교류 등 각 분야에서 통일부의 역할은 더욱 커지고 있는 게 사실이다.

통일부는 작년 한해동안 총 38회의 회담이 열어 연간 106일간 남북 당국간 대화에 참여했고, 특히 통일부 장관이 남북장관급회담 수석대표를 맡고 있는 것을 비롯해 크고 작은 다양한 회담에 대표로 참석해 북한과 실질적인 협상을 벌이고 있다.

회담 전략과 대북정책을 세우고 회담과 각종 교류를 통해 집행하고 이를 국민들에게 적극적으로 설명하고 알리는 일을 맡게 됨으로써 창설 초기의 '북한연구기관'이라는 정적인 역할은 동적이고 적극적인 역할로 바뀌었다.

여기에다 '하나원'을 운영하면서 최근들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의 초기 교육을 전담하고 국내정착을 지원하는 등 대민업무도 늘어가고 있다.

통일부 한 관계자는 "북한과의 회담과 각종 경제협력사업, 이산가족, 탈북자 지원, 중장기 정책 수립, 대국민 교육과 홍보 등 폭주하는 업무로 몸은 고되지만 남북관계 진전이라는 민족의 과제 해결을 위해 일한다는 보람을 안고 업무에 임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같은 평가 속에서도 통일부가 남북관계 전담부서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지금보다 더욱 적극성과 전문성을 갖춰야만 할 것이라는 지적이 적지 않다.

최근 각종 회담에서 '핵문제'에 모든 문제를 돌린 채 남북관계를 진전시킬 돌파구 마련과 남북관계 진전을 국민들에게 알리는데 소극적인 통일부의 자세는 남북관계가 제도화 단계에 들어서면서 '타성적'으로 일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을 낳고 있다.

여기에다 남북간 경제협력이 제도화의 틀로 엮임에 따라 통일부가 과연 커져가는 경제협력을 이끌 전문성을 갖췄느냐는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각 부처를 아우르는 경협전담기구의 설립도 거론되고 있어 자기 살을 깎는 통일부의 노력이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