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윤영관 장관은 15일 사표가 수리된후 외교부 청사에서 이임식을 가졌다. 
[사진 - 통일뉴스 송정미기자]
"대나무는 외풍이 불고, 삭풍이 불면 흔들리기는 하되 꺾이지는 않는다."

외교통상부 윤영관 장관은 15일 '부적절한 발언' 파문과 관련 지휘.감독의 책임을 물어 사표가 수리된 후, 오전 11시 30분경 외교부 청사 18층 리셉션 홀에서 열린 이임식에서 "유연한 외교"를 하기 위해 노력해왔다며 이같이 말했다.

윤영관 장관은 이임사에 앞서 "보좌관이 연설문을 미리 준비해줬는데, 때론 하기가 싫은 경우가 있다"며 준비된 연설문을 자신이 준비해온 작은 메모로 대신하겠다면서 말문을 열었다.

윤 장관은 외교부는 "취임후 첫번째 실.국장회의 때 행정부 수반인 대통령의 국정철학을 손과 발이 돼 집행하는 사람이 외교관인 만큼 언행에 극히 조심해달라고 당부했는데 제대로 통솔하지 못한 것에 대해 국민과 직원들에게 대단히 미안하다"며 아쉬움을 표했다.

이날 윤 장관은 지난 11개월 동안 나름대로의 '자주외교'를 펼쳐왔었다고 강변했다. 

▶이임사를 하고 있는 윤 장관.
[사진 - 통일뉴스 송정미기자]
윤 장관은 "우리의 외교가 '자주외교'가 되기 위해선 모두가 국제정치 전문가가 돼서 국제정치의 대흐름을 알고 분석하고 꿰뚫어 인정해야 한다"면서 "국제정치를 바라보는 우리 시각이 좌우에 치우치지 않는 균형 잡힌 시각을 가져야 하고 국가와 국가간, 힘과 힘간의 균형이 있어 이런 관계 속에서 한국도 존재한다는 것을 일단 인정하고 그 현실속에서 우리 국익을 찾을지를 생각해야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런 인식을 국민들과 여론 주도층인 정부나 언론 등이 갖지 못하는 것 같다"며 자신의 '국제정치'론이 갖는 어려움을 털어놨다.

윤 장관은 "한국은 분단된 '독특한' 나라로 아직은 남북간 불안정한 상태이기에 (한미간) 동맹관계가 필요하다는 생각하에 우리가 안고 있는 문제인 평화체제 구축, 6자회담 등 이 모든 과정에서 미국과의 동맹을 중요시 해왔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이런 목표를 놓고 중장기적으로 설정해가고 주변국과 협력해 나가야 우리 목표를 달성할 때 자주로 가는 것"이라며 "어떤 이는 이를 두고 '숭미'라고 하지만 '숭미'와 '용미'는 엄격히 구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 장관은 자주외교 실현을 위해서는 우리 내부적으로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며 북핵 문제 해결에서 우리가 로드맵을 준비하고 주변국을 끌어내도록 해야 하며 지난 1년 동안 그런 결과를 가져왔다면 그건 자주적인 외교라면서 그런 맥락에서 보면 지난 1년 동안 열심히 해왔다고 밝혔다.

▶이임사를 마치고 참석한 직원들과 일일이 악수를 나누고 있는 윤 장관.
[사진 - 통일뉴스 송정미기자]
윤 장관은 또 "이제는 4강 외교를 벗어나 글로벌 외교를 해야 할 때이며 이를 위해 부족한 인프라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몸은 커졌는데 옷은 10년전 것이어서 열심히 한다고 움직이면 옷이 터지는 게 지금 외교부의 인프라"라면서 "이것은 비밀인데 대통령이 북핵 외교에 성공하면 모든 것 다 들어준다고 약속했으니 다음 장관과 함께 대통령의 국정철학을 잘 받들어 열심히 일해달라"고 당부했다.

윤 장관은 "취임 초부터 인프라 확충 이야기를 하고 싶었으나 외교가 그간 쌓은 업보 같은 것이 있어 자체개혁부터 하게 됐다"며 "시대 변화에 따른 국가 목표 달성을 위해 스스로가 변화와 혁신의 노력에 적극 동참하고, 노 대통령의 국정 철학을 잘 받들어 외교부가 거듭나 새로운 환경과 미래의 선봉자 역할을 할 것"을 당부하면서 이임사를 마쳤다.

▶이날 이임식에는 많은 기자들이 참석 관심을 보였다. [사진 - 통일뉴스 송정미기자]
이임사를 마친 윤 장관은 외교부 직원들과 일일이 악수를 나누며 지난 11개월 동안의 외교부 생활을 마감했다. 그는 향후 거취에 대해서는 "좀더 생각해 봐야 한다"며 "일단 휴식을 취하고 싶다"고 말했다.

사실상 '경질'성 사표 수리로 이날 전체적인 분위기는 침통했으며, 많은 기자들이 열띤 취재 경쟁을 벌이기도 했다. 

한편, 윤 장관 후임으로 현재 라종일 청와대 국가안보보좌관, 반기문 외교보좌관, 한승주 주미대사 등이 거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일부에서는 이들 또한 노 대통령이 표방하는 '자주외교' 실현을 기대하기가 어렵다는 반응이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