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차 적십자회담의 첫날 합의로 오는 3월 15일부터 남북간 이산가족의 서신교환이 실현될 예정이어서 그 방법과 규모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최종 합의가 아닌데다 아직 시범적 차원이긴 하지만 분단 이후 최초로 남북 이산가족이 공식적으로 서신을 주고 받는 것은 의미있는 변화가 아닐 수 없다.

지난해 9월 11-14일 김용순(金容淳) 북한 노동당 비서의 서울 방문시 남북은 공동보도문으로 이산가족 생사.주소 확인 작업을 시작해 빠른 시일 내에 마치고, 이들중 생사 확인자부터 서신교환 문제를 우선적으로 추진키로 한다는 내용을 발표했다.

그후 제2차 적십자회담에서 서신교환에 대해 합의에 이르지 못했으나 서신교환 방법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고 공감대를 점차적으로 넓혀왔다.

남북 양측은 판문점 연락사무소를 통해 일괄적으로 서신을 주고 받는데는 사실상 의견일치를 이루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우표를 붙이는 일반적인 서신왕래와 다른 차원으로 소식을 교환한다는 뜻이다.

또 남측은 북측 입장을 고려해 엽서 형태의 서신 교환 방식을 검토할 용의가 있다는 능동적인 자세를 갖추고 있다. 여기에는 봉함 편지에 대한 북한 당국의 검열로 애써 걸림돌을 조성할 필요가 없다는 인식도 깔려있다.

다만 이산가족들의 파란만장한 개인사(個人史)를 감안해 소포 형태로 유품과 사진 등을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자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북한이 이렇다할 만한 반응을 아직 보이지 않고 있는 것이 현재까지의 상황이다.

또 서신교환 대상의 규모에 대해 양측의 기본구상마저 여전히 엇갈리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남측은 이번 3차 적십자회담에서도 서신교환의 대상을 확대하는 방안을 실현시키기 위해 북측을 설득하고 있는 중이다. 그러나 북측은 선(先)시범사업 후(後) 확대방안을 고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측안이 최종적으로 채택된다면 두 차례 이산가족 방문단으로 생존사실이 확인된 사람과 생사 및 주소 확인자중 300명을 대상으로 일단 서신교환이 시작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규모 확대 여부에 대한 입장 차이로 기술적인 방법론에 대한 토론이 진전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정부 당국자의 설명이다.(연합뉴스 주용성기자 2001/01/30)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