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김 위원장은 작년 5월말 남북정상회담을 앞두고 중국을 방문해 양국간 현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한 전례가 있어 서울 답방이 당초 예상보다 빨리 이뤄지는 것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은 지난 12월 27일 열린 송년간담회에서 `우리는 명년(2001년) 상반기에 방문하길 기대하고 있다`며 `새해 들어 북쪽과 본격적으로 논의해 날짜를 잡아갈 생각`이라고 말했다.
정부 고위 당국자도 `김 위원장의 중국 방문이 사실일 경우 서울 답방은 빨라지지 않겠느냐`며 `현재 남북 당국간에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고 김 위원장이 서울에 오는 것은 틀림없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당초 올 봄에서 상반기 사이에 성사될 것으로 예측됐던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이 예상보다 빨라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우선 오는 5월, 6월 등을 방문 시점으로 예상해 볼 수 있다. 2월과 4월에는 각각 김 위원장과 김일성(金日成) 주석의 생일행사가 대대적으로 열려 가능성 낮기 때문이다. 또 김 위원장의 서울 방문을 위해 경호 등에서 남북간 철저한 준비가 필요해 3월은 빠르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6월의 경우 지난해 열린 남북정상회담 1주년이 되는 시점라는 점과 북측이 지난 10일 열린 `우리 민족끼리 통일의 문을 여는 2001년 대회`에서 6월15일부터 8월15일까지를 민족통일 촉진 운동기간으로 설정했다는 점에서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정부 당국자는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이 빠르면 빠를수록 좋고 상반기 이내면 좋겠다는 것이 정부의 입장`이라며 `남북관계는 최고 통치권자의 결심이 중요한 만큼 실무적 준비 진전과 상관없이 답방이 결정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의 답방이 최고통치권자의 결정 차원에서 이뤄진다고 하더라도 남북관계의 진전이 그의 서울 답방 실현의 전제조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현재 논란이 일고 있는 국가보안법 개폐 문제, 북측의 전력협력 요청에 대한 결론, 남측 사회 내부의 화해 분위기 등이 김 위원장의 답방을 이끌어내는 변수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종석 세종연구소 연구위원은 이와 관련, `중국은 북한의 국제사회 진입에 대해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있고 김 위원장의 답방에 대해서도 적극 권유하는 것으로 안다`며 `김 위원장의 실용주의를 뒷받침하는 이번 방중으로 서울 답방을 더욱 낙관할 수 있게 됐다`고 분석했다.(연합뉴스 장용훈기자 2000/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