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향후 미국과의 협상에서 장거리 미사일 개발 동결과 수출 중단 대가로 반대급부를 극대화하는 정책을 추진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외교통상부 외교안보연구원은 1일 발간한 `2001년 국제정세전망` 보고서에서 `2001년중 북.미협상은 북한의 미사일 개발.수출 포기와 그에 따른 보상을 골자로 하는 포괄적 틀을 구체적으로 마련해갈 것`이라며 이같이 전망했다.

특히 보상문제와 관련, `인공위성 대리발사, 수출중단에 따른 보상을 위해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와 같은 국제 컨소시엄 방식이 부각되어 갈 것`이라고 보고서는 내다봤다.

이 보고서는 `대북관계에 적극적이던 모리 요시로(森喜朗) 총리 정권의 약화와 미국에서 부시 행정부의 등장으로 일본의 대북 협상자세가 경화될 것`이라며 `향후 북.일수교는 북.미관계 개선과 남북관계의 추이에 연동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북한은 이와 함께 올 한해 중국.러시아와의 정상외교를 가동하면서, 경제재건에 절실한 대외 경제협력을 얻기 위해 서방과의 관계개선과 아태경제협력체(APEC), 아시아개발은행(ADB) 등 국제기구 가입을 추진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새해 남북관계는 6.15 공동선언 이행을 위한 폭넓은 당국간 대화와 민간차원의 대화가 활성화됨으로써 남북이 상호간 신뢰를 더욱 두터이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남북은 특히 상호필요한 물자교류와 합작투자, 이를 위한 합작공단 조성에서부터 자원의 공동개발, 백두산 개발 등 관광자원 개발, 두만강 개발 등에 이르기까지 교류와 협력이 활발히 이뤄질 것이라고 보고서는 관측했다.

한편 북한 내부변화와 관련, 보고서는 올해 북한이 7차 노동당 대회를 개최해 군(軍)중심 체제에서 당정(黨政)에 입각한 정상체제로의 전환을 모색하고, 과학기술 중시를 통해 정보.통신 등 첨단기술 분야를 전략산업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연합 2001.1.1)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