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차 남북 장관급 회담을 계기로 남북 민간부문 경제협력 사업이 당국 차원에서 추진됨에 따라 한층 속도가 붙을 것으로 관측된다.

지난 12일부터 16일까지 평양에서 열린 제4차 남북 장관급 회담에서 양측은 민간부문 사업으로 추진되던 개성공업단지 조성과 어업협력을 당국 간 합의문인 공동보도문에 명시했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민간부문에서 추진되던 사업이 당국 간 합의에 포함된 것은 `처음 있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한국토지공사와 현대아산이 함께 추진 중인 개성공단 건설 사업은 위치 선정만 끝난 상황으로 송금이나 시설물 보호 등과 관련한 법적.제도적 장치가 마련돼야 하고 북측 역시 이 지역을 경제특구로 조성할 경우 `경제특별법` 등을 제정해야 하는 절차가 남아 있다.

시공권을 갖고 있는 현대아산 측은 앞으로도 북한 관계당국과 계속 협의하면서 이 사업을 추진해 나갈 것으로 예상되지만 남북 당국이 앞으로 `남북 경제협력 추진위원회`를 구성해 이들 문제를 협의.해결하기로 함에 따라 토공의 주관 아래 속도가 붙을 것으로 관측된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위치 선정만 끝난 상태로 사업계획 수립, 통일부 협력사업 승인, 측량 등을 바탕으로 한 기본설계안 마련 등도 끝내야 하기 때문에 개성공단 착공까지는 시일이 걸릴 것으로 관측된다.

어업부문 협력사업 역시 민간부문에서 당국 간 경협 차원으로 성격이 전환된 측면이 짙다.

북측이 제4차 장관급 회담에서 협력사업으로 거론한 독도 북쪽의 함흥만 일대 어장인 `은덕어장`은 지난 2월 남측 전국어민총연합(전어총)과 북측 민족경제협력연합회(민경련)가 합의한 어장이다.

정부는 그 동안 은덕어장에 대해 `회유성 어종이 남한으로 내려오는 길목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이해관계가 상충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승인을 내주기가 어렵다`는 입장을 보여 왔으며 이를 수산업협동조합 차원에서 추진했으면 하는 바람을 나타내기도 했다.

수협의 한 관계자는 18일 `정부 지침이 아직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어민대표기관인 수협에서 남북 어업부문 협력사업을 추진하게 될 것 같다`고 말했다.

특히 수협은 남북 공동어로 등과 관련해 지난 97년 이후 지난해 7월 말까지 네 차례, 올해 4월 한 차례 각각 접촉했으며 그 이후에는 중개인이나 통신망 등을 통해 북한 관계기관과 대화를 계속해 온 것으로 밝히고 있다.

이 관계자는 현재까지 북측이 어선과 유류 등을 지원해 줄 것을 요청하면서도 어선 관리나 조업에 필요한 남측 인원 파견은 수용하지 않는 등 투자 보장 조건을 마련해 주지 않아 혼선이 빚어져 왔던 게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전어총의 한 관계자는 `일본의 `해양 패권주의`에 맞선 전어총을 북한이 높이 평가하고 있고 지난 2월 어업협력 합의 당시 민경련과 민족화해협의회, 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대외어업총회사 등 북측 관계자들이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뜻을 받들어`라는 표현까지 했다`면서 남북 어업협력 사업에서 전어총이 배제돼서는 안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연합 2000.12.18)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