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민화협과 중앙일보, SBS는 4일 오전 11시 세종문화회관 세종홀 세레스룸에서 기자회 견을 열고 고구려 유물 및 고분벽화 시사회를 가졌다. [사진 - 통일뉴스 송정미기자] |
분단이후 처음으로 북한의 고구려 국보급 유물이 서울 시민들을 만난다.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민화협)와 중앙일보, SBS의 주최로 오는 12월 6일부터 내년 3월 5일까지 코엑스 3층 특별전시장에서 열리는 이번 `특별기획전 고구려!`는 분단으로 공백상태로 남겨졌던 고구려 유물과 유적을 접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벌써부터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번 전시회와 관련해 주최측은 4일 오전 11시 세종문화회관 세종홀 세레스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고구려 유물 및 고분벽화 시사회를 가졌다.
민화협 박용길 장로는 "오랫동안 준비하고 기대하던 고구려 유물전을 개최하게 돼 기쁘다"며 "직접 가서 보니 너무 많은 분들이 노력을 한 것을 느낄 수 있었다"고 인사말을 했다.
![]() |
| ▶슬라이드를 통해 유물 설명을 하고 있는 서길수 교수. [사진 - 통일뉴스 송정미기자] |
그는 또 "이번 전시는 남북이 서로 믿지 않으면 이런 귀한 물건을 북으로부터 받아올 수도 없었을 거"라며 "이번 유물전을 통해 선조들의 슬기를 보면서 남북이 하나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바램을 전했다.
행사를 주관하고 있는 바인홀딩스 유충민 대표는 이번 전시가 성사되기까지의 과정을 설명하면서 "북측 유물이 서울로 인도되기까지 내내 마음을 놓을 수 없었다"며 "북측의 유물이 남포항에서 선적되고 배가 출항하고서야 평양 고구려의 서울 전시를 확신할 만큼 남북관계 사업의 어려움을 실감하였다"고 말해 전시회가 성사되기까지의 과정이 쉽지 않았음을 시사했다.
이번 전시회의 학술자문위원장을 맡고 있는 노태돈(서울대) 교수는 "북쪽 유물이 남쪽에서 전시된다는 것 자체가 의의"라며 "분단이 한 고비를 넘어 모든 민족과 함께 볼 수 있고 민족의 동질성을 회복하는데 있어 이번 전시회가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그 의미를 전했다.
이미 알려진 대로 이번 전시회에는 북의 국보 4점을 비롯해 250여점의 고구려 유적과 유물이 시민들에게 선보여질 예정이다.
![]() |
| ▶벽화를 설명하고 있는 이형구 교수. [사진 - 통일뉴스 송정미기자] |
국보 4점은 영강7년명 금동광배, 연가7년명 일광삼존불, 해뚫음무늬 금동장식품, 불꽃뚫음무늬 금동관이며 이중 영강7년(551년) 금동광배는 용인 호암미술관에 소장돼 있는 국보 제118호인 금동미륵반가사유상의 뒤에 붙었던 광배로, 이번 전시를 통해 남북이 한몸으로 성불하게 될 것으로 보여 관심을 끈다.
뿐만 아니라 국보급 유물외의 전시물들도 눈길을 끌만하다.
실물크기로 복원한 벽화무덤(덕흥리벽화무덤, 안악3호무덤, 진파리1호무덤, 강서큰무덤, 덕화리2호무덤) 5개와 일본에서 5년 전에 전시한 실물크기 벽화 복원 유물 61점, 실물크기로 복원한 광개토대왕비(6.34m) 등은 고분벽화의 주제였던 생활풍속, 장식무늬, 사신 등을 통해 고구려 사회상의 변화나 내세관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 |
| ▶노태돈 교수 [사진 - 통일뉴스 송정미기자] |
전시기획위원장 서길수 서경대 교수는 전시 유물에 대해 설명하면서 "보존이 중요시되는 작품들을 북쪽에서 내려보냈다는데 굉장히 놀랬다"며 북한 당국의 배려가 컸음을 전했다.
한편, 학술자문위원장 노태돈 서울대 교수는 이번 전시에 대해 "북한지역에 있던 문화유산들이 휴전선을 넘어 분단후 처음으로 서울에 와서 서울 시민들에게 보여질 수 있게 전시회가 개최되는 것 자체가 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이번 전시회를 계기로 남의 유물이 북에 가서 전시되고 이를 계기로 남북한 학자들이 만나 학술토론을 하고, 또 남북한 시민들이 우리 문화 관람을 통해 우리의 동질성을 회복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뿐만 아니라 "질적으로 높은 수준의 국보 4개와 새로 발굴된 유물들을 전시할 수 있었던 것은 북한당국의 상당한 배려로 가능했다"고 평가했다.






평양에서 온 유물, 벽화
고구려의 혼을 만난다.
민화협은 중앙일보, SBS와 공동으로 분단이후 처음으로 북한의 고구려 유물을 서울에서 전시합니다. 이번 전시회에는 북한의 국보 4점을 비롯해서 북한에서 250여점을 출품합니다.
기간 : 2002년 12월 6일 - 2003년 3월 5일
오전 10시 - 오후 8시
장소 : 서울 삼성동 코엑스 특별전시장(3층 프레스센터)
관람료 : 성인 1만원, 중고생 7천원, 어린이 5천원
단체 10인이상은 1천원 할인
문의 : 3443-2511(추진위)
1588-7890(티켓링크)
<<고구려전의 의미>>
영원한 그리움의 대상 고구려!
우리는 [특별기획전 고구려!]에서
웅혼한 민족의 기상을 느끼고,
독창적인 우리문화의 향기 발견하고,
선조들의 역동적인 삶의 흔적을 찾게될 것입니다.
<특별기획전 고구려!>는
민족의 자긍심을 고취시키고,
장쾌한 기상으로 21세기 세계화 시대를 살아가는 지혜를 줄 것이며,
민족동질성을 확인하여 민족화해에 이바지하게 될 것입니다.
1. 민족의 자긍심 고취
고구려는 우리민족의 역사에서 가장 강대한 국가를 건설한 나라입니다. 우리 국민들이 고구려를 체험함으로써 민족에 대한 자긍심을 드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는 월드컵 4강 신화를 창조하여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자긍심을 한껏 높였습니다. 고구려 전시회는 우리가 월드컵 개최를 통해서 느낀 민족적 자긍심의 뿌리를 찾아가는 전시회가 될 것입니다.
고구려는 군사력이 강했을 뿐만 아니라 매우 높은 수준의 문화생활을 누렸습니다. 우리는 고구려 전시회를 통해서 우리 민족문화의 우수함을 알게 될 것입니다.
2. 장쾌한 기상으로 21세기 세계화 시대 맞이
우리는 고구려전시회를 통해서 선조들의 웅혼한 기상을 접하게 될 것입니다. 고구려 시대에 천하를 호령했던 선조들의 장쾌한 기상은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큰 귀감이 될 것입니다.
우리 역사 속에서 스스로를 천하의 중심이요, 세계 인류라고 생각했던 것이 바로 고구려 문화입니다. 고구려는 우리에게 21세기 세계화 시대를 살아가는 지혜를 안겨줄 것입니다.
3. 민족동질성을 확인하여 민족화해에 이바지
고구려전시회는 남북사이의 사회문화교류를 활성화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남북 사이에서 진행하는 사회문화교류는 민간이 주체가 되어서 적극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사업입니다. 남북의 사회문화교류가 활발하게 진행되면 우리 동포들의 마음속에 있는 분단의 아픔을 씻고 민족의 동질성을 확인하게 될 것입니다.
이번 고구려전시회는 북쪽에서 4점의 국보를 비롯해서 고구려 문화의 진수라고 할 수 있는 벽화고분 등 많은 전시품들을 보내왔습니다. 이와 같은 남북 사이의 문화재교류는 남북의 화해와 협력에 큰 도움을 줄 것입니다.
남북이 분단되었지만 우리의 과거 역사까지 분단된 것은 아닙니다. 우리가 마음속에서부터 그리워하는 고구려를 체험함으로써 우리의 민족사에 대한 남북의 교감을 확대해나가게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