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단적 폭염과 홍수, 가뭄을 비롯해 기후위기로 인한 피해가 구체적 현실 문제로 나타나는 가운데 북한은 온실가스 배출과 대기 오염의 주된 당사자인 서방이 상응하는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기후변화와 위기의 원인인 온실가스 배출과 대기오염의 책임소재를 따지고, 그 피해보상과 정상화 복원비용 등을 배출자가 지도록하는 '오염자 책임원칙'(Polluter Pays Principle)이 철저히 지켜져야 한다는 것.
[노동신문]은 26일 '환경파괴의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제목의 글에서 "(기후위기는 날로 심각해지고 있지만)지금까지 서방은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저들이 응당 져야 할 의무를 태공하여 왔다"고 하면서 "서방나라들은 그 어떤 권모술수로도 생태환경을 엄중히 파괴하고 엄청난 피해를 초래한 책임에서 절대로 벗어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신문은 "기후변화에 관한 빠리협정이 채택된 2015년 12월이후부터 현재까지 세계 5대원유기업들이 방출한 온실가스에 의한 피해액이 무려 5조US$ 이상에 달한다"며, 온실가스 방출로 인해 엄청난 피해가 발생한 실증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현 기후변화를 초래한 발전된 나라들이 발전도상나라들에 년간 1 000억US$의 자금을 지원"하도록 한 파리협정에도 불구하고 "서방은 언제한번 그 의무를 제대로 리행한 적이 없다"고 하면서 "대기중에 떠도는 온실가스의 대부분을 방출하고 가장 큰 피해를 초래한 당사자는 다름아닌 서방"이라고 거듭 비판했다.
신문은 지난 23일 오전(한국시간) 브라질 벨렝에서 폐막한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서 많은 나라들이 서방의 책임회피를 규탄했다고 하면서 "오래동안 개발의 혜택을 누리며 처벌받지 않고 지구를 오염시켜온 국가들은 오늘날 다른 나라들보다 더 큰 책임을 져야 한다", "그들의 탐욕은 생명을 위협하고있다"고 한 칠,와 콜롬비아 대통령의 발언을 소개했다.
한편, COP30에서 '2035년까지 개발도상국들이 기후행동에 나서기 위한 자금 조달 규모를 최소 연간 1조3천억 달러로 확대할 수 있도록 협력한다'는 합의는 이루어졌으나 민간부문 자금까지 포함된 '모든 주체의 협력'으로 모호하게 처리되어 선진국의 구속력있는 재정의무를 명확히 하는데는 실패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