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최선희 외무상. 사진은 10월 말 평양을 방문한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을 위한 연회에서 연설하는 모습. [사진-노동신문 갈무리]
북한 최선희 외무상. 사진은 지난 2023년 10월 말 평양을 방문한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을 위한 연회에서 연설하는 모습. [사진-노동신문 갈무리]

최근 미국을 비롯한 주요 7개국(G7, Group of Seven) 외교장관들이 '븍한의 완전한 비핵화' 원칙을 재확인하는 공동성명을 발표한데 대해 최선희 북한 외무상이 '핵보유는 변함없는 현실'이라고 일축했다.

최 외무상은 14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전문 공개된 담화 'G7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주권적 선택을 거스를 권리가 없다'를 통해 "미국과 그의 동맹국들이 10년, 20년 아니 50년, 100년을 열창해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핵보유는 그들에게 싫든좋든 변함없는 현실로 남아있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비핵화》를 아직까지도 습관적으로 합창하는 G7의 타성적인 집념은 스스로를 국제사회의 변두리로 몰아가고 자기들이 국제관계의 한구석에 놓이는 소외된 소수 리익집단임을 증명해보일 뿐"이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현 지위는 외부의 수사학적주장에 따라 달라지지 않으며 오늘의 엄혹한 지정학적환경속에서 핵보유는 가장 위험하고 적대적인 국가들을 억제할수 있는 가장 정확한 선택"이라고 역설했다.

지난 12일(현지시간) 캐나다에 모인 G7 외교장관들이 "우리는 북한의 핵·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강력히 규탄하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따른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우리의 공약을 재확인했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 공동성명을 발표한데 따른 대응이다.

최 외무상은 "그 누구도 우리에게 위헌을 강요할 권리가 없으며 개헌을 시도하지도 말아야 한다"고 하면서 "조선반도와 아시아태평양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보장하는 길은 비현실적인 《비핵화》를 주창하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헌법을 존중하는데 있다"고 말했다.

G7 외교장관들의 공동성명이 핵보유국임을 명시한 북한 헌법을 무시하고 침해하고 있다는 것.

이어 미국, 일본, 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캐나다 및 유럽연합으로 구성된 G7을 '세계 최대의 핵보유국을 위시하여 핵으로 련결되고 결탁된 핵동맹집단"이라 칭하고는 "자기 집안에서 공공연히 나타나는 무모한 핵수사위협과 핵전파시도에 대해서는 침묵을 지키고 이미 그 의미와 명분을 깡그리 상실한 그 누구의 《비핵화》에 대해서만 고집하는 G7의 현실도피적이며 이중기준적인 처사는 아무도 납득시킬수 없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외부의 핵위협이 종식되지 않는한,핵을 폭제의 수단으로 삼고 절대적인 패권을 추구하는 세력이 존재하는한 핵보유를 영구화한 헌법에 끝까지 충실함으로써 국가와 인민의 현재와 미래를 담보하고 국제적정의를 실현하려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의지는 확고부동하다"고 거듭 북의 핵보유 의지를 확인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