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4일 완공을 앞둔 '학용품공장과 교구비품공장' 건설현장을 찾아 연말 완성, 내년 상반기 중 조업을 지시했다.
[노동신문]은 5일 김 위원장이 전날 학용품공장과 교구비품공장 건설현장을 현지지도해 "현재 당에서 중시하고있는 학용품공장과 교구비품공장, 교육기자재공장 건설은 우리 나라 교육분야의 물질적토대를 강화하고 교육조건과 환경을 개선하는데서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는데 대하여 다시금 강조하였다"고 보도했다.
김 위원장은 "학용품공장과 교구비품공장, 교육기자재공장은 전국적인 수요를 보장하는 핵심공장들인 것만큼 건축과 설비공정 구성에서나 생산 및 생활환경의 모든 면에서 손색이 없어야 한다"고 강조하고는 "건축공사를 년말까지 완성하고 래년도 상반년중에 공장들을 조업하는데서 나서는 구체적인 과업들을 밝혔다"고 신문은 전했다.
또 이 공장은 햇수로 5년이 되도록 공사가 진척되지 못하다가 군인건설자들이 투입된 후 불과 몇개월 남짓한 사이에 기본 골조공사를 끝내고 마감공사에 접어들어 완공을 앞두게 되었다고 하면서 그들의 수고를 치하했다.
그동안 교육부문에서 몇년간 말공부만 하면서 공장건설이 지체되었다고 하면서 "이것은 경제실무적조건관계를 론하기에 앞서 당정책과 국가의 미래를 대하는 내각과 교육부문 지도간부들의 관점과 태도상의 문제로 보아야 한다고, 당중앙위원회 제8기 전원회의들마다에서 이 공장들을 설립하는 것에 관한 같은 내용의 결정서가 무려 8차례나 의결되였지만 집행되지 않았으며 해당 부문에서는 그 집행을 위한 똑똑한 방도도 내놓지 않았다고" 질책했다.
그러면서 "오는 12월전원회의에서는 매번 국사중의 국사로 중대한 의미가 부여된 중요정책사업들이 몇년간이나 차요시되고 방치된 원인을 엄격히 총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공장에서 생산하여 전국 모든 학교에 공급할 교구비품 견본들을 살펴보고는 △교종별, 나이별, 체형별, 품종별에 따르는 적합한 규격과 수요 △질을 원만히 보장할수 있게 원료, 자재보장체계를 전망적으로, 과학적으로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며, 필요한 조치들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김 위원장의 현지지도에는 조용원 당 비서가 동행했으며, 현지에서 노광철 국방상과 건설에 나선 군부대 지휘관들과 설계 및 관계부문 일꾼들이 영접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