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4일 완공을 앞둔 '학용품공장과 교구비품공장' 건설현장을 찾아 연말 완성, 내년 상반기 중 조업을 지시했다. [사진-노동신문]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4일 완공을 앞둔 '학용품공장과 교구비품공장' 건설현장을 찾아 연말 완성, 내년 상반기 중 조업을 지시했다. [사진-노동신문]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4일 완공을 앞둔 '학용품공장과 교구비품공장' 건설현장을 찾아 연말 완성, 내년 상반기 중 조업을 지시했다.

[노동신문]은 5일 김 위원장이 전날 학용품공장과 교구비품공장 건설현장을 현지지도해 "현재 당에서 중시하고있는 학용품공장과 교구비품공장, 교육기자재공장 건설은 우리 나라 교육분야의 물질적토대를 강화하고 교육조건과 환경을 개선하는데서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는데 대하여 다시금 강조하였다"고 보도했다.

김 위원장은 "학용품공장과 교구비품공장, 교육기자재공장은 전국적인 수요를 보장하는 핵심공장들인 것만큼 건축과 설비공정 구성에서나 생산 및 생활환경의 모든 면에서 손색이 없어야 한다"고 강조하고는 "건축공사를 년말까지 완성하고 래년도 상반년중에 공장들을 조업하는데서 나서는 구체적인 과업들을 밝혔다"고 신문은 전했다.

또 이 공장은 햇수로 5년이 되도록 공사가 진척되지 못하다가 군인건설자들이 투입된 후 불과 몇개월 남짓한 사이에 기본 골조공사를 끝내고 마감공사에 접어들어 완공을 앞두게 되었다고 하면서 그들의 수고를 치하했다.

김 위원장은 지난 5년간 학용품 및 교육비품·기자재 공장건설에 관한 결정서가 8차례나 의결되었지만 집행되지 않았다며, 오는 12월 전원회의에서 그 원인을 엄격히 총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진-노동신문]
김 위원장은 지난 5년간 학용품 및 교육비품·기자재 공장건설에 관한 결정서가 8차례나 의결되었지만 집행되지 않았다며, 오는 12월 전원회의에서 그 원인을 엄격히 총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진-노동신문]

그동안 교육부문에서 몇년간 말공부만 하면서 공장건설이 지체되었다고 하면서 "이것은 경제실무적조건관계를 론하기에 앞서 당정책과 국가의 미래를 대하는 내각과 교육부문 지도간부들의 관점과 태도상의 문제로 보아야 한다고, 당중앙위원회 제8기 전원회의들마다에서 이 공장들을 설립하는 것에 관한 같은 내용의 결정서가 무려 8차례나 의결되였지만 집행되지 않았으며 해당 부문에서는 그 집행을 위한 똑똑한 방도도 내놓지 않았다고" 질책했다.

그러면서 "오는 12월전원회의에서는 매번 국사중의 국사로 중대한 의미가 부여된 중요정책사업들이 몇년간이나 차요시되고 방치된 원인을 엄격히 총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공장에서 생산하여 전국 모든 학교에 공급할 교구비품 견본들을 살펴보고는 △교종별, 나이별, 체형별, 품종별에 따르는 적합한 규격과 수요 △질을 원만히 보장할수 있게 원료, 자재보장체계를 전망적으로, 과학적으로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며, 필요한 조치들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김 위원장의 현지지도에는 조용원 당 비서가 동행했으며, 현지에서 노광철 국방상과 건설에 나선 군부대 지휘관들과 설계 및 관계부문 일꾼들이 영접했다.

학용품공장과 교구비품공장 전경 [사진-노동신문]
학용품공장과 교구비품공장 전경 [사진-노동신문]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