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4일 중국인민지원군의 한국전쟁 참전 75돌에 즈음해 평안남도 회창군의 중국인민지원군열사능원을 참배했다. [사진-노동신문]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4일 중국인민지원군의 한국전쟁 참전 75돌에 즈음해 평안남도 회창군의 중국인민지원군열사능원을 참배했다. [사진-노동신문]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4일 중국인민지원군의 한국전쟁 참전 75돌에 즈음해 평안남도 회창군의 중국인민지원군열사능원을 참배했다고 [노동신문]이 25일 보도했다.

김 위원장은 자신 명의의 꽃바구니와 당 중앙위원회, 국무위원회 명의로 된 꽃바구니를 진정된 가운데 중국인민지원군 열사들을 위한 추모 묵상을 한 뒤 한국전쟁에 참전했다 전사한 마오쩌둥 전 중국 국가주석의 장남인 마오안잉(毛岸英)의 묘를 찾아 별도로 꽃송이를 진정했다.

신문은 "세월이 흐르고 세대가 바뀌여도 우리 인민은 중국인민의 우수한 아들딸들이 뿌린 선혈과 불멸의 공적을 영원히 잊지 않을 것"이라며, "피로써 맺어진 조중친선은 앞으로도 반제자주, 사회주의위업을 실현하기 위한 성스러운 투쟁에서 불패의 생명력을 힘있게 과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참배에는 조용원·박정천·김덕훈 당 비서들과 최선희 외무상이 동행했다.

김 위원장은 한국전쟁에 참전했다 전사한 마오쩌둥 전 중국 국가주석의 장남인 마오안잉(毛岸英)의 묘를 찾아 별도로 꽃송이를 진정했다. [사진-노동신문]
김 위원장은 한국전쟁에 참전했다 전사한 마오쩌둥 전 중국 국가주석의 장남인 마오안잉(毛岸英)의 묘를 찾아 별도로 꽃송이를 진정했다. [사진-노동신문]

신문은 별도 기사에서 '중국인민지원군 조선전선 참전 75돌'을 맞아 "조중친선은 외래침략자들을 반대하는 피어린 투쟁속에서 동지적 우의와 혈연적 뉴대로 굳게 결합된 불패의 친선"이라며, "조중 두 나라 인민은 앞으로도 제국주의자들의 침략과 패권을 반대하고 국제적 공평과 정의를 수호하기 위한 투쟁에서 지지련대를 강화하며 언제나 함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중국인민지원군 조선전선참전 75돌을 두 나라가 함께 의의깊게 기념하는 것은 조중친선을 승화발전시켜 나갈 두 나라 당과 인민의 확고부동한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전쟁 발발 1년전 출범한 신생 사회주의 국가 중화인민공화국은 1950년 10월 19일 민간 의용군 형식의 '중국인민지원군' 25만 병력으로 하여금 '항미원조 보가위국(抗美援朝 保家衛國)'의 기치를 들게 하여 압록강을 넘도록 했으며, 10월 25일 첫 전투를 개시했다.

마오안잉은 펑더화이(彭德懷) 중국인민지원군 총사령관의 러시아어 통역관으로 압록강을 건넜다가 1950년 11월 25일 평안북도 동창군 대유동에서 미군 전투기 폭격으로 전사한 후 회창군 인민지원군 총사령부 열사릉원에 묻혔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