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위원장과 시진핑 주석은 두 나라 국기앞에서 기념촬영을 했다. [사진-노동신문] 
김정은 위원장과 시진핑 주석은 두 나라 국기앞에서 기념촬영을 했다. [사진-노동신문] 

북한 정권 수립 77주년에 즈음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9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에게 축전을 보내 '전략적 의사소통 강화, 긴밀한 내왕과 협조'를 강조했다.

시진핑 주석은 [노동신문]이 9일 공개한 축전 전문에서 최근 김 위원장의 중국 전승절 기념행사 방문을 언급하고는 "나는 당신과 다시 상봉하고 두 당, 두 나라 관계발전을 위한 설계도를 공동으로 마련하였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측은 조선측과 전략적 의사소통을 강화하고 래왕과 협조를 긴밀히 하여 중조친선과 두 나라 사회주의위업을 손잡고 추동해나감으로써 지역과 나아가서 세계의 평화와 발전에 보다 큰 공헌을 할 용의가 있다"고 강조했다.

'중조 두 나라는 산과 강이 잇닿아 있는 전통적이며 친선적인 린방', '중조관계를 수호하고 발전시키는 것은 중국당과 정부의 전략적 방침'이라는 관행적 표현외에 '관계발전을 위한 공동의 설계도를 마련했다'는 대목이 눈길을 끈다.

지금까지 시 주석이 김 위원장에게 보낸 축전 또는 답전에서 전례를 찾기 어려운 표현이다.

'조중친선의 해'로 선포한 지난해 1월 1일 신년 축전에서 시 주석은 "쌍방은 전략적 의사소통을 긴밀히 하고 실무협조를 심화시키였으며 다무적인 국제문제들에서 조률과 협력을 강화함으로써 중조관계의 끊임없는 발전을 추동하고 두 나라의 공동의 리익과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수호하였다"며, "새 시기 새로운 정세하에서 중국당과 정부는 시종일관 전략적높이와 장기적 각도에서 중조관계를 대하고있다"고 말했다.

2년전 9월 9일 축전에서는 "백년이래 있어본 적이 없는 대변화가 급속히 일어나고있는 속에서 국제 및 지역정세가 어떻게 변하든 전통적인 중조친선협조관계를 훌륭히 수호하고 훌륭히 공고히 하며 훌륭히 발전시키는것은 시종일관 중국당과 정부의 확고부동한 립장"이라며, "새로운 정세하에서 중국측은 조선측과 함께 전략적의사소통을 강화하고 실무협조를 심화시키며 중조관계를 시대와 더불어 전진시켜 보다 큰 발전을 이룩하도록 추동함으로써 두 나라 인민에게 보다 훌륭한 복리를 마련해주고 지역의 평화와 안정, 발전번영에 보다 큰 기여를 할 용의가 있다"고 했다.

중국 외교부가 지난 4일 시 주석과 김 위원장의 별도 정상회담을 보도하면서 김 위원장의 '경제무역협력'에 대한 희망을 중요하게 소개한 것과 달리 북측은 이에 대해 일절 보도하지 않은 것도 뒤늦게 주목받고 있다.

발표되진 않았지만 시 주석이 축전에서 언급한 '관계발전을 위한 공동설계도' 중 '경제무역협력'이 주요  내용일 것이라는 추측이 나온다.

중국이 한반도 문제 해법으로 2017년부터 고수해 온 '쌍중단'(북의 핵·미사일 개발과 미·한의 대규모 군사훈련 중단)과 '쌍궤병행(한반도 비핵화와 북·미 평화체제 전환 동시 추진) 노선의 수정 또는 보완이 이뤄진 것은 아닌지에 대해서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일각에서는 미국과 경쟁하는 중국의 입장에서 러시아와 협력을 공고히하고 있는 북의 지정학적 가치가 높아진 만큼 중국이 현실화된 북핵 보유를 간접적, 우회적으로 인정하고 사실상 무력화된 대북제재를 해결하는데 나서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한편,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지난 5일 "77년전 우리 나라는 새 조선국가를 제일먼저 인정하였다"며 '공화국 창건일'을 맞는 김 위원장에게 축전을 보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