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는 18일 이재명 정부의 대북정책 핵심 기조는 '평화공존'이며, 이는 '반북 흡수통일과 자유의 북진론'으로 대표되는 지난 윤석열 정부의 '8.15 통일독트린'을 폐기한 것이라고 밝혔다.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오전 정례브리핑에서 '올해가 평화공존과 공동성장의 한반도 새 시대를 함께 열어갈 적기'라고 한 이재명 대통령의 80주년 광복 경축사를 언급하며, 핵심 대북 메시지는 △북측의 체제 존중 △흡수통일 불추구 △일체의 적대행위 불추진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지난 윤석열 정부 <8.15 통일 독트린>의 '반북 흡수통일, '자유의 북진론'을 폐기하고, 평화 공존의 대북정책 기조를 분명히 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구 대변인은 " 정부는 앞으로도 한반도의 실질적 긴장 완화와 남북 신뢰 회복을 위한 조치를 일관되게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 15일 이재명 대통령은 '제80주년 광복절 경축사'에서 "광복 80주년인 올해가 대립과 적대의 시대를 끝내고, 평화공존과 공동성장의 한반도 새 시대를 함께 열어갈 적기라고 생각한다"며, "신뢰를 회복하고, 단절된 대화를 복원하는 길에 북측이 화답하기를 인내하며 기대하겠다"고 말했다.
또 "우리 정부는 기존 합의를 존중하고, 가능한 사안은 곧바로 이행해 나갈 것"이라고 하면서 "우선, 현재 북측의 체제를 존중하고, 어떠한 형태의 흡수통일도 추구하지 않을 것이며 일체의 적대행위를 할 뜻도 없음을 분명히 밝힌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이승현 기자
shlee@tongil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