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정부가 “이스라엘의 8.8. 가자 시(Gaza City) 점령 계획 등 승인으로 인해 인도적 위기에 처한 가자지구의 상황이 더욱 악화될 가능성에 대해 엄중한 우려”를 표명했다.

이날 외교부 대변인 ‘논평’을 통해 이같이 밝히면서 “우리 정부는 두 국가 해법을 일관되게 지지해 왔으며, 두 국가 해법 실현을 저해하는 모든 조치에 반대한다”고 확인했다.

또한 “정부는 즉각적 휴전 및 인질 석방, 인도적 접근 보장, 국제인도법 등 국제법 준수 등 민간인 보호를 위해 당사자들이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을 촉구했다.

이에 앞서, 지난 3일 공개된 [워싱턴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미국의 동맹국들이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승인하는 추세인데 한국도 정책을 변경할 것인가’라는 질문을 받은 조현 외교부 장관은 “말하기 어렵다”고 대답한 바 있다.

그는 “우리는 지금 우리 자신에게 몰두하고 있지만 지역 내에서 그리고 유엔에서 그 사태를 살펴볼 것”이나 “우리는 동북아 상황 변화에 취약하다고 느끼며 솔직히 말해 세계 다른 지역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볼 여유가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혜정 중앙대 교수는 지난 6일 한 토론회에서 “팔레스타인 문제에 개입할 여유가 없다는 조현 외교부 장관의 ‘고백’은, 미중 사이에서 연성 편승이 한국 외교의 좌표가 되면서 한국이 동북아에 갇혀 버리는, 그래서 영국, 프랑스와 캐나다 등 미국의 동맹들조차 무시할 수 없는 지구적 문제를 도외시하는, 글로벌 외교의 포기로 이어지고 있는 것은 아닌가”라고 문제를 제기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