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수주의’ 색채가 강한 중국 매체 [글로벌타임스]가 5일 “조 장관의 발언은 신중한 줄타기 외교를 반영한다”고 풀이했다.
랴오닝성사회과학원 한반도전문가인 뤼차오(呂超) 연구원을 인용해 “현재 한국 정부는 전임 정부의 일방적인 접근에서 벗어나려 하지만 미국을 자극하지 않기 위해 여전히 신중하게 움직이고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지난 3일 공개된 [워싱턴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조현 외교부 장관이 “우리는 중국의 부상과 도전에 대해 약간 경각심을 갖게 됐다”면서 “‘우리는 좋은 관계를 유지하길 원하고, 당신이 양자뿐만 아니라 지역 문제에서도 국제법을 준수하길 바란다’는 메시지를 중국에 보내려고 노력할 것”이라고 밝힌 데 대한 반응이다.
뤼차오 연구원은 “중국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서는 말 이상이 필요하다”면서 “한국은 제3국의 지렛대로 이용되기보다는 일관성과 성실성을 가지고 행동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제3국’은 미국으로 보인다.
이 매체는 또한 “동북아시아에서는 중국이 이웃 나라들과 다소 문제적이 되었다는 또다른 문제가 있다. 남중국해와 황해에서 중국이 해온 일을 우리가 봤다. 경제적으로는 중국이 너무 빠르게 너무 잘 발전해서 경쟁자가 되었다”는 조현 장관의 발언에 대해서도 비판적 시선을 드러냈다.
뤼차오 연구원은 역내 행위자도 아니면서 남중국해 문제를 자극하고 “중국 위협”을 거론하는 미국의 수사를 한국이 되풀이하는 것은 ‘중한관계 개선’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우리는 관세, 정치적 술책, 미국의 군사적 요구 등 한국이 직면한 압박을 이해하지만 한국이 이러한 오도된 서사에 정당성을 부여해서는 안 된다”면서 “지금 필요한 것은 중국과의 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결단성 있는 조치들(decisive steps)”라고 강조했다.
‘결단성 있는 조치들’이 무엇인지는 밝히지 않았다.
다만, 지난달 린젠(林剑) 중국 외교부 대변인이 ‘중한관계는 근본적으로 양국의 공동이익에 의해 추진되며 양국관계는 어떤 제3자를 겨냥하지도 않을뿐더러 어떠한 제3자에 의해 방해받아서도 안 된다’고 밝힌 사실을 강조했다.
이에 앞서, 중국 측은 외교채널을 통해 오는 9월 3일 ‘80주년 전승절 기념 행사’에 이재명 대통령 참석을 희망한 바 있다.
한편, 5일 대통령실은 “우리는 굳건한 한미동맹을 기반으로 한중관계 발전을 추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조 장관의 발언은 한중간 일부 사안에 이견이 있더라도, 민생 및 역내 안정과 번영에 기여하는 한중관계를 만들기 위해 지속 노력하겠다는 취지의 언급으로, 조 장관은 중국과의 관여 필요성을 관련국들에게 제기하고 있다는 점도 강조하였다”고 짚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