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미군사령관이 공개한 '거꾸로 된 지도' [사진-SBS 갈무리]
주한미군사령관이 공개한 '거꾸로 된 지도' [사진-SBS 갈무리]

"결국 이 지도는 주한미군의 《전략적유연성》확대란 본질에 있어서 아시아태평양지역에서 전쟁이 일어나는 경우 한국이 미국의 《돌격대》로 참전할 가능성이 100%라는 것을 쪼아박은 일종의 명령서나 같다."

[조선중앙통신]은 19일 최근 제이비어 브런슨(Xavier Brunson) 주한미군사령관이 공개한 '거꾸로된 지도'에 대해 '미국의 대아시아 침략전쟁기도를 직관적으로 설명'한다고 쏘아붙인 개인 필명의 논평을 게재했다.

필자인 안혁범은 "군용지도는 단순한 지형지물의 축도가 아니라 군사행동과 전술이 반영된 작전도이며 포위는 방어가 아니라 공격을 의미하는 군사적개념"이라고 하면서 "이 지도는 주한미군을 신속기동군화하여 어떻게 하나 아시아지역에서 패권적 야망을 실현해보려는 미국의 침략적 흉심을 가감없이 그대로 드러내보이고 있다"고, "미군이 리용하는 새 지도는 주한미군의 《전략적유연성》확대가 보다 공세적으로 진화되였음을 알리는 산증거"라고 비판했다.

"한국과 일본, 대만, 필리핀 등 미국의 추종세력들이 우리 공화국과 중국을 포위하는 구도로 설정되여있는 것이 그것을 립증해준다"고 짚었다.

또 "여기에는 미국이 고안하고 일본, 필리핀을 비롯한 추종국가들이 제창하는 패권적이며 침략적인 《하나의 전역》구상도 그대로 반영되여있다"고 지적했다.

'하나의 전역'(전구, One Theater)) 구상은 기존에 분리돼 있던 한반도, 동중국해, 남중국해를 하나의 군사작전 무대로 통합해 미·일 중심으로 한국과 호주, 필리핀 등 우호국과의 협력체계를 심화하자는 것으로, 지난달 말 나카타니 겐 일본 방위상이 피트헤이그스 미국 국방장관과의 회담에서 제안했다.

필자는 이 구상이 미국 주도의 △통합작전지휘체계구성 △다자합동군사연습 △장거리공격무력증강배치 등 극히 위험천만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하면서 "조선반도와 중국 동해 및 남해를 무대로 하여 주일미군기지들은 기본 및 병참기지, 주한미군기지들은 전초 및 발진기지 역할을 맡도록 묘사되여있는 이 지도는 미국의 대아시아침략전쟁기도를 보다 직관적으로 설명해준다"고 분석했다.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미국의 아시아 제패 전략에서 한국의 역할이 두드러지게 부각된 것.

"이 지도에는 한국의 평택미군기지에서 사방으로 뻗어나간 화살표들이 그어져있으며 이것은 사실상 아시아지역의 어디에서 전쟁이 일어나든 한국이 그 전초기지, 발진기지가 되여야 한다는 것을 명백히 시사해주고 있다"는 것이다.

브런슨 사령관이 "지도를 거꾸로 보면 중국과 가장 가까우며 아시아대륙에서 유일하게 미군기지가 있는 한국의 〈항공모함〉역할을 이해할 수 있다"고 한 해석을 뒤집어 풀이한 셈이다.

'거꾸로된 지도'는 일반적인 지도와 달리 주한미군사령부가 들어서있는 평택 캠프 험프리스를 한 가운데 두고 한반도와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의 지형을 뒤집어 놓은 것으로, 브런슨 사령관이 지난 5월 27일 한미연구소(ICAS, Institute for Corean-American Studies) 주최 '버츄얼 춘계심포지엄-베리타스 2025'에서 한 '한반도 문제와 미국 국가안보' 주제의 발표를 통해 처음 공개했다.

지도에는 캠프 험프리스에서 평양(255㎞)과 베이징(985㎞), 평양-블라디보스토크(691km), 몽골 울란바토르(2,045㎞), 도쿄(1,155㎞), 타이베이(1,425㎞), 마닐라(2,550㎞), 하노이(2,705㎞)까지의 직선거리도 표기돼 있다.

주한미군은 올해 초부터 이 지도를 내부 교육용으로 제작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필자는 "이 지도야말로 미국의 아시아침략기도를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침공도》이며 아시아태평양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파괴하는 근본인자는 다름아닌 미국이라는 것을 스스로 폭로하는 《직관판》이나 다름없다"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