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4일 평산 우라늄 정련공장 폐수 서해유입 우려에 대한 관계부처 합동 특별실태조사를 실시한다. 빨간 점은 10개 조사 정점 [사진-통일부 제공]
정부가 4일 평산 우라늄 정련공장 폐수 서해유입 우려에 대한 관계부처 합동 특별실태조사를 실시한다. 빨간 점은 10개 조사 정점 [사진-통일부 제공]

정부가 황해북도 평산 우라늄 정련공장 폐수의 서해 유입 우려에 대해 4일 관계부처 합동 특별실태조사를 실시한다.

장윤정 통일부 부대변인은 4일 정례브리핑에서 "최근 제기되고 있는 우려와 관련하여 정부는 7월 3일 관계부처 회의를 개최하고 오늘 관계부처 합동 특별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달 초 미국 위성사진 분석결과라며 평산의 우라늄 정련공장 공장 옆 침전지 폐수가 강화만과 경기만을 지나 서해로 유입되고 있다는 주장이 보도된 뒤 확산되는 의혹과 우려에 대한 정부차원의 대응이다. 

장 부대변인에 따르면, 원자력안전위원회·해양수산부·환경부가 합동으로 실시하는 특별실태조사는 예성강 하구와 가장 가까운 강화도 및 한강하구 등 10개 정해진 장소에 대해 우라늄과 세슘 등 방사성 및 중금속 오염 여부를 조사하고 앞으로 약 2주간의 분석과정을 거쳐 결과를 공개할 예정이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전문가들이 4일 강화도 현장 6개 지점에서 시료채취를 하고 있다. 각 지점별로 20리터 시료통 3개와 2리터 시료통 2개에 시료 채취 작업을 진행했으며, 시료통은 KINS 분석실로 옮겨 정밀조사를 하게 된다. [사진-통일부 제공]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전문가들이 4일 강화도 현장 6개 지점에서 시료채취를 하고 있다. 각 지점별로 20리터 시료통 3개와 2리터 시료통 2개에 시료 채취 작업을 진행했으며, 시료통은 KINS 분석실로 옮겨 정밀조사를 하게 된다. [사진-통일부 제공]

2019년에도 제기된 평산 우라늄 공장 방사성 폐수 우려에 대해 당시 원안위가 6개 장소에서 우라늄 검출 여부를 확인했지만 이번에는 조사 장소를 10개소로, 조사범위도 우라늄 뿐만 아니라 세슘, 중금속 오염 여부로, 조사 참여기관은 원안위와 해수부·환경부 합동으로 확대했다.

앞서 원안위는 지난 1일 강화도에서 대기질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하면서 "환경방사선 자동감시망을 통해 측정된 공간 방사선 준위를 분석한 결과 전국 모든 지역에서 정상 준위를 나타내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평산공장은 광석에서 우라늄을 추출하는 정련공장인데, 이런 곳에서 배출한 폐수에 문제가 될만한 양의 우라늄이 나올 가능성은 매우 적다고 한다.

장 부대변인은 " 당분간 매월 감시체계를 지속하는 정기 감시시스템을 구축하고 관계부처 협의체를 지속 운영하여 수시로 소통해 나감으로써 국민적 우려 사안에 대해 즉시 대응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같은 계획은 전날 통일부 통일정책실장 주재로 합동 특별실태조사부처와 통일부·국방부·국가정보원 등이 참가한 관계부처 회의에서 결정됐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