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4·3 항쟁 77주년」을 맞아 야권이 희생자들을 추모하면서 비극 재발을 막기 위해 ‘윤석열을 파면하라’고 헌법재판소에 촉구했다.
더불어민주당 안귀령 대변인은 3일 서면브리핑을 통해 “제주 4·3항쟁으로 희생되신 모든 분들의 명복을 빈다. 77년이라는 오랜 세월, 몇 세대에 걸쳐 고통과 아픔을 겪어 오신 유가족들과 제주도민들께도 마음 깊은 위로를 드린다”고 밝혔다.
“4·3은 우리 역사에 깊이 새겨진 비통한 단면인 동시에 국민들의 가슴 아픈 삶을 담고 있”으나 “1948년 불법계엄과 4·3의 고통과 아픔을 잊지 못하는 제주도민들은 지난 12·3 계엄에 놀라며 4·3의 참혹한 역사를 떠올려야 했다”고 지적했다.
안 대변인은 “매년 4월 3일 희생자들을 기억하고 기리는 것은 두 번 다시 비극이 되풀이되어서는 안 된다는 역사의 교훈을 마음에 새기기 위함”이라며 “4월 4일, 헌법재판소는 비극을 되풀이하려 한 어리석은 대통령을 반드시 파면해 다음 세대에게 부끄러운 역사를 남기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3일 오전 제주 4·3평화공원에서 최고위원회의를 주재한 조국혁신당 김선민 대표 권한대행도 “불행한 역사의 악순환을 멈춰야 한다. 국민 위에 군림하고 말을 안 들으면 학살하는 악행을 뿌리부터 몸통까지 뽑아내야 한다”면서 “윤석열의 파면은, 4·3에서 시작된 국가폭력 악순환을 끊는 선언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소설가 한강 선생님은 ‘윤석열 파면이 보편적 가치를 지키는 일’이라고 말했다”면서 “민주주의를 파괴하고 국민을 위협한 자는 어떤 권력의 자리에서도 반드시 처벌을 받는다는 것, 역사는 낱낱이 기록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대행은 “4월 4일, 내일은 청명(淸明)”이라며 “이름 그대로 맑은 하늘이 정의롭게 열릴 것”이라고 기대했다. 헌법재판소의 주문에 대해서는 “피청구인 대통령 윤석열을 파면한다”라고 예상했다.
진보당 홍성규 수석대변인은 “4·3항쟁은 곧 ‘계엄학살’”이라고 지적했다.
“독재자 이승만은 민주주의를 촉구하던 국민들을 ‘반국가세력’으로 몰아 1948년 11월 제주에 계엄을 선포했다”며 “무고한 사람들에게 ‘내란죄’를 뒤집어씌워 무려 3만여명의 시민이 억울하게 희생되었다”고 했다.
홍 대변인은 “그 끔찍하고 잔혹하고 참담했던 계엄이, 무려 77년을 넘어 다시 소환될 줄이야 누가 상상이나 했겠는가”면서 “바로 내일, 오직 8:0 전원일치 파면만이 우리 국민들의 목숨을 지켜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제주 4.3평화공원에서 열린「제77주년 4·3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한 우원식 국회의장은 “77년 전 제주는 오늘 우리 대한민국에 ‘국가는 무엇을 지켜야 하는가?’, ‘대한민국은 어떤 공동체로 나아가야 하는가?’라는 질문을 건네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4·3 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눈앞에 두고 있는데, 이는 냉전과 분단의 틈에서 이념의 이름으로 벌인 국가폭력과 이를 극복해온 제주의 역사가 세계인을 향한, 인권과 평화의 메시지가 될 것”이라며 “제주 4·3이 세계인의 기억과 역사가 되는 그 길에서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도 한 걸음 더 전진할 것”이라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