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일 "한국독립운동 연구 학술대회"에서 이종찬 광복회장. [사진-광복회]
지난 4일 "한국독립운동 연구 학술대회"에서 이종찬 광복회장. [사진-광복회]

“작금의 대한민국의 위기는 어떤 상황에서도 대한민국 정체성을 지켜나가야 할 고위관계자들의 천박한 역사인식과 국민 마음을 헤아리지 못한 친일편향의 인사와 정책에서 비롯되었습니다.” 

독립 운동가와 그 후손, 유족들의 단체인 광복회(회장 이종찬)이 5일 ‘현 시국에 대한 입장문’을 통해 “남과 북은 치킨게임을 벌이듯 강대강의 극한 대치로만 이어지고 있다. 한·미·일 편향외교가 부른 북·중·러 연대로 인해 자칫 우크라이나 전쟁에 휘말릴지도 모른다는 안보 불안감도 가속화되고 있다”면서 이같이 지적했다.

“‘일본의 마음’을 먼저 헤아린 일련의 정책들이 지도자들의  잘못된 처신과 맞물려 국정의 난맥상으로 이어진 것”이며 “결국은 세계무대에서 주요국 역할을 해내야 하는 중대한  시점에서 국정 동력마저 떨어뜨렸다”라고 개탄했다.

광복회는 “대한민국 정체성 유지에 심혈을 기울여 온 광복회로서는 현 정부하에서 계속되어 온 역사 왜곡과 정체성 훼손으로 빚어진 국민 간의 갈등, 그로 인한 국정 난맥상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일제시기 우리의 국적이 일본”이라는 사람을 독립기념관장에 앉히고 식민지 시기 “우리가 무슨 나라가 있었냐”고 큰 소리치는 인사를 고용노동부 장관에 임명하는 행위는 “단순히 일본의 식민지배를 정당화 해주는 일일 뿐만 아니라, 목숨과 전 재산을 걸고 독립운동을 한 선열들을 모욕하는 진실된 역사에 대한 ‘중대한 도전’”이라는 것이다.

광복회는 형식적이고 수사적인 자유가 아니라 ‘진실된 자유’를 기반으로 설 수 있도록 윤석열 대통령이 헌법적 가치와 역사적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 각성하고, 역사의식과 국가 정체성을 바로 세우기를 촉구했다.

동시에 “국민의 자존감을 회복하고 민족적 정체성을 되찾기 위해 용산 내 안보교육 책임자 등 인적 쇄신을 포함한 국정 전반을 쇄신해 줄 것”을 요구했다. 7일 예정된 기자회견에서 윤 대통령이 이같은 입장을 밝히기를 기대한 셈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