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유산위원회 자문기구(ICOMOS)는 일본 사도광산의 세계유산 등재 여부에 대해 ‘보류(Refer)’ 결정을 내렸다.
사도광산은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으로 한국 정부는 군함도 사례와 마찬가지로 역사적 사실을 알 수 있도록 전체 역사를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일본 정부는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면서 유산의 대상 기간을 16∼19세기 중반으로 한정해 비판받고 있다.
<연합뉴스> 등에 따르면, 일본 문화청은 세계문화유산 등재 심사를 담당하는 유네스코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이코모스)가 사도광산 세계유산 심사결과 보류를 권고했다고 밝혔다.
자문기구 권고는 △등재(Inscribe), △보류(Refer), △반려(Defer), △등재불가(Not Inscribe)로 구분되는데, 보류는 신청국이 보완 조치를 취하도록 신청국에게 다시 회부한다(refer back to the State)는 의미이며, 자료를 보완하면 당해 또는 다음 연도에 열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WHC) 회의에서 세계유산으로 등재될 가능성이 높다.
최종 결정은 오는 7월 21~31일 인도 뉴델리에서 개최되는 2024년 제46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내려지며, 세계유산위원회는 21개국 정부로 구성돼 있다.
일본 문화청은 “사도광산이 세계유산 등재를 고려할 만한 가치가 있음을 인정받았다”며 “일본 정부로서는 올해 7월에 인도에서 열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등재되도록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우리 외교부는 6일 “신청 당사국이 아닌 우리 정부가 현 시점에서 결과를 확인해 주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직접적 입장 표명은 피했다.
다만, “세계유산위원회 운영지침상 세계유산 신규 등재 신청에 대한 자문기구 평가결과와 권고안을 위원회 개최 6주 전 세계유산위원국들에게 회람하게 되어 있는바, 금주 말 해당 평가 결과 및 권고가 공개될 것으로 예상한다”고만 알렸다.
한편, 사도광산은 2022년에도 세계유산으로 추천했지만 추천서 미비점으로 심사 작업을 진행하지 않았고, 일본 정부는 지난해 1월 미비점을 보완해 재추천한 바 있다.


일본은 세계유산 등재 결정을 한 달여 앞두고 일본 정부는 7일 “한국에 정중히 설명하겠다”라는 견해를 내놨지만, 한국 정부는 “전체 역사가 반영되지 않는다면 등재를 막아서겠다”라고 강경한 태도를 보였다.
일본 정부가 최근 한국 국립해양조사원의 독도 주변 해양조사에 항의했다. 지난달 조국 혁신당 대표의 독도 방문을 두고 항의한 지 한 달도 채 안 돼서다.
일본은 군함도에 이어 사도 광산 그리고 독도문제를 가지고 집요하게 한국을 건드릴 것이 확신하고 있다. 우리가 일본보다 힘이 강해지지 않은 한 계속될 것이다.
그러나 일본에 피해를 본 남북이기에 최소한 남북이 군사협력 협정만이라도 성사된다면 일본과의 전쟁도 불사하게 되므로 일본의 특성상 꼬리를 내려 조용해질 것이라 확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