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윤석열 대통령이 “민주 영령들께서 남겨주신, 자유민주주의의 위대한 유산을 더욱 굳건하게 지킬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오전 10시 광주광역시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4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해 “오월의 정신이 깊이 뿌리내리면서, 대한민국은 자유민주주의의 꽃을 활짝 피워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국민의 삶을 더 세심하게 챙기면서, 더 큰 대한민국을 향해 국민과 함께 힘차게 나아갈 것”이라며 “오월의 정신이 찬란하게 빛나는 새로운 미래를 열기 위해, 저와 정부의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이날 윤 대통령은 5·18후손과 유가족 대표들, 황일봉 5·18민주화운동 부상자회장, 양재혁 5·18민주화운동 유족회장, 윤남식 5·18민주화운동 공로자회장, 강기정 광주광역시장, 김영록 전남도지사 등과 함께 ‘민주의 문’을 통과해 입장했다. 헌화, 분향, 묵념에도 함께 했다.
기념식 말미에는 참석자들과 함께 일어나 손잡고 ‘님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했다. 이어 5‧18민주묘지 1묘역에 안장되어 있는 고(故) 박금희, 김용근, 한강운 유공자 묘소를 찾아 참배하고 유족들을 위로했다.
김수경 대통령실 대변인은 “대통령은 취임 이후 3년 연속 빠짐없이 기념식에 참석하면서 마음을 다해 5.18민주화운동의 정신을 기렸다”면서 “대통령 재직 중 3년 연속 기념식에 참석한 사례는 노무현 전 대통령에 이어 두 번째”라고 강조했다.
원내 제1당인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여당인 국민의힘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 지난달 10일 치러진 ‘22대 총선’에서 원내 3당으로 올라선 조국혁신당 조국 대표와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 등도 기념식에 함께 했다.
별도 기자회견을 통해, 이재명 대표는 “윤석열 대통령께서 오늘 기념식에 참석해주신 것은 참으로 감사한 일”이나, “아쉬운 것은 대선 때 명백하게 공약했고, 이번 총선에서 국민의힘이 공약했던 광주 5.18 정신 헌법전문 수록에 대해서 한마디 말씀이 없으셨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국가 폭력의 그 처참한 역사 그리고 그에 저항했던 숭고한 희생과 헌신을 반드시 대한민국 헌법 전문에 수록해서 우리 대한민국 국민들이 다시는 국민들이 준 총칼로 국민을 집단 대량 살상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조국 대표는 “5·18 광주민주화운동은 3·1운동, 4.19혁명과 다를 바 없다”면서 “이제 헌법 전문에 수록되는 일은 마땅한 일”이라고 밝혔다. 전날 국회 기자회견을 통해서는 ‘87년 헌법을 바꾸자’고 제안했다.
기념식 직후 기자들을 만난 이준석 대표도 “제 정당 간에 윤석열 대통령께서도 과거 대통령 후보 시절에 헌법 전문 수록에 대해 찬성하신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내용적인 부분에 대해 반대하는 건 없을 것”이라고 거들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