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원식 국방부장관은 정 육사 내 (홍범도 장군 등) 독립영웅들의 흉상을 지긋지긋하게 여기고 이전시키려 한다면 차라리 폭파해 없애버려라.”

독립 운동가와 후손, 유족들의 모임인 광복회(회장 이종찬)가 2일 성명을 통해 “우리는 선거가 끝나자마자 국방당국이 행한 조치가 (...) 육사 내 독립운동 선열들의 흉상을 이전한다는 소식을 듣고 경악을 금치 못한다”면서 이같이 쏘아붙였다. 

“육사의 결정을 존중하겠다”는 방식으로 홍범도 장군 흉상을 육사 내 별도 장소에 옮기겠다는 국방부의 행태가 ”민감한 선거시기에는 국민의 지탄이 두려워 숨겨놓았다가 이제 변형된 형태로 독립영웅들의 흉상을 슬쩍 옮기려는 것”으로 “비겁하다”는 것이다.

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제3묘역 내 홍범도 장군 묘지. [사진-통일뉴스 임재근 객원기자]
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제3묘역 내 홍범도 장군 묘지. [사진-통일뉴스 임재근 객원기자]

광복회는 “국방부가 멀쩡하게 서 있는 독립영웅 흉상 철거와 이동계획을 사주, 독립운동가를 부끄럽게 하고 군의 정체성을 훼손했다는 이번 총선 민심의 심판에 따라 국방장관의 사퇴를 요구(한다)”고 밝혔다. 

“10만 카자흐스탄의 동포들을 비롯한 전 세계 100만의 고려인들은 “만약 홍범도 장군의 흉상을 1cm만 이동하더라도 우리는 그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받은 일체의 훈장이나 표창을 반납할 것”이라고 성명하였다”는 사실을 상기시켰다. 

광복회는 “홍범도 장군의 유해봉환이나 흉상 건립사업은 역대 대한민국 정부의 숙제였”는데  “이런 국민적 숙원사업을 윤석열 정부에서 뒤엎어 국민을 분열시키는 데 대해 얻으려는 것이 무엇인지 밝히고 이에 응당한 책임질 것”을 촉구했다.

“흉상철거 이전계획 백지화가 이번 총선의 민심이자 국민들의 지상명령이었다”면서 “그럼에도 ‘전 시대 다른 군 영웅과 함께 전시 운운’하며 이동할 경우, 국민적 저항에 직면하게 될 것을 경고한다”고 못박았다.

이날 국방부 정례브리핑에서 ‘광복회 성명’ 관련 질문을 받은 서우석 육군 공보과장은 “브리핑 들어오기 전에 저도 잠깐 봤는데, 그 부분에 대해서 제가 지금 언급할 건 아니라고 생각이 된다”고 피해갔다.

다만 “현재 육사에서 종합계획을 지금 현재 검토 및 수립 중에 있다”고 확인했다. “육사 내에 설치돼 있는 여러 기념물에 대해서 어떠한 기준을 가지고 구성을 할 것”인지 등을 “다 다루고 있는 것이 기념물 종합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