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 [사진제공-대통령실]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 [사진제공-대통령실]

28일 윤석열 대통령이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후보자로 이동관(66) 대통령 대외협력특별보좌관을 지명했다.

‘아들 학폭 논란’, ‘방송 장악 의혹’ 등 야당과 시민사회의 여러 의혹 제기에도 불구하고 지명을 밀어붙인 것이다. 다음 달 하순께 열릴 것으로 예상되는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논란이 재연될 전망이다. 

이날 브리핑에서,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은 “그야말로 언론계의 중진으로서 대통령실 대변인, 또 홍보수석비서관을 역임했다”며 “언론 분야에서 쌓은 풍부한 경험과 또 다양한 인간관계, 네트워킹, 리더십을 바탕으로 윤석열 정부의 방송통신 분야 국정 과제를 추진할 적임자”라고 인사 이유를 밝혔다.

이동관 후보자는 “자유 민주주의 체제를 파괴한다고 할까, 가짜뉴스와의 전쟁에 지금 각국 정부, 시민단체가 모두 대응에 골몰하고 있는 이슈”라며 “그래서 저는 무엇보다 공정한 미디어 생태계의 복원, 그리고 자유롭고 통풍이 잘되는 소통이 이루어지는 정보 유통 환경을 조성하는데 먼저 총력을 기울이려고 한다”고 강변했다.

지명 소식이 알려진 직후, ‘윤석열 정권 언론장악 저지 야4당 공동대책위원회’는 “두 달 여간 ‘여론 떠보기’를 거듭하더니, 최악의 방송통신위원장 인사를 강행했다”고 반발했다.

“언론사상 최악의 언론탄압으로 기록되고 있는 이명박 정권 당시 언론사찰과 탄압의 장본인이고, 현직 대통령실 특보로서 공정성과 독립성이 생명인 방송통신위원장으로는 부적격이라는 국민 여론이 윤석열 대통령에겐 들리지 않은 것인가”라고 질타했다.

이들은 “아들 학폭 논란, 농지법 위반, 인사청탁 뇌물수수 의혹까지 도덕성에서도 국민 눈높이에는 이미 낙제점인 인물을 방송통신위원장 자리에 기어이 앉히려는 것은 언론장악만큼은 포기할 수 없어서인가”라고 물었다.

“야4당 공대위는 언론탄압의 대명사인 인물이 방송통신위원장 자리에서 언론탄압의 흑역사를 다시 쓰려는 것만큼 막아낼 것”이라며 “윤석열 대통령은 국민을 무시한 ‘방송장악용 오기 인사’를 철회하기 바란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