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사이버안보 고위급 협의체’가 공식 출범했다.
23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한국 측 대통령실과 미국 백악관은 지난 20일부터 사흘 간 워싱턴 D.C.에서 사이버안보 관련 회의를 열어 ‘고위운영그룹’(SSG)을 출범시켰다. 지난 4월 한·미 정상회담에서 합의한 데 따른 조치다.
한국 측에서는 국가안보실 윤오준 사이버안보비서관이 대표로, 국정원 국가사이버안보협력센터장, 외교부 국제기구협력관, 과기정통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 국방부 방위정책관(대참), 경찰청 사이버수사국장, 777사령관 등이 참석했다.
미국 측은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의 존 키프(John Keefe) 사이버정책 선임국장을 대표로, ONCD(백악관 사이버국), 국무부, 국방부, 법무부, NSA, FBI, CISA(사이버인프라보안청), CIA 등의 고위급 인사들이 참여했다.
이번 SSG 1차 회의서, 양측은 북한 핵·WMD 개발의 주요 자금원인 불법 가상자산 탈취 차단, 기반시설 보호 등에 대해 논의했다. 글로벌 사이버위협 대응 차원에서 한국이 주도하는 ‘인태 지역의 국제사이버훈련 필요성’도 제기했다.
미국 측에서는 주요 사이버안보 정책 및 표준 개발, 주요 국가시스템 보안 강화, 악성 행위자에 의한 네트워크 취약점 제거, 사이버위협 대응을 위한 제로트러스트 정책 도입, 암호체계 점검 등 관련 협력을 제기했다.
대통령실은 “앞으로 양국은 SSG와 실무그룹 운영을 통해 사이버안보 관련 다양한 현안에 대한 공동 대응을 더욱 확대하고 정보 교류를 한층 가속화하는 등 협력을 본격화할 계획”이라며, “이를 통해 정부는 한미동맹을 사이버공간까지 확장하고 협력을 지속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