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가 기존 인도협력국을 '실'로 격상하고 교류협력실은 '국'으로 변경하는 등 조직개편을 추진한다.
이효정 통일부 부대변인은 24일 오전 정례브리핑에서 "통일부는 남북관계 및 통일정책 추진환경 변화 등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 행정안전부와 조직개편 협의를 진행하였고, 이러한 조직개편 내용이 반영된 통일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일부개정령안을 오늘(3.24)부터 3월 27일까지 입법예고한다"고 밝혔다.
직제 개정의 주요 내용은 인도협력국을 '인권인도실'로 개편하면서 인권인도실장 아래 실장 보좌를 위해 인권정책관과 정착안전정책관 직위를 신설하고, 한시 조직인 장관 직속 통일미래전략기획단 기능을 통일정책실로 편입하여 통일전략기획관 및 통일미래추진단을 설치한 것.
인권인도실에는 북한 주민 인권증진을 위한 협력과 지원 강화를 위해 '북한인권증진과'를 신설하고, 기존 북한인권과는 '북한인권기획과'로 명칭을 변경하며, '북한이탈주민안전지원팀'은 '안전지원과'로 확대한다.
통일정책실 통일기반기획팀은 '국내외 통일인식 개선 및 대북·통일정책의 안정적 추진을 위한 법·제도 기반 구축'을 위해 신설한다.
현재 지리멸렬한 남북교류협력 상황 등을 감안해 교류협력실은 '국'으로 개편하고 교류지원과와 남북접경협력과는 폐지하기로 했다.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사무처 기능은 남북회담본부로 통합·이관하여 회담본부내에 설치할 '남북연락과'를 통해 남북 연락업무를 수행할 계획이다.
또 분야별 회담 전략·기획 기능 효율화를 위해 기존 3개과(정치·군사/경제/사회·문화·인도)를 2개과(정치·군사/경제·사회·문화·인도)로 개편한다.
정세분석국 기능을 강화해 국장 아래 북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관리해 국민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고위공무원 나급의 '북한정보공개센터장'을 신설하고 정보공개서비스과와 자료관리팀을 관장하도록 하기로 했다.
또 북한 경제 및 사회·문화 분야 분석을 강화하기 위해 현재 경제사회분석과를 '경제분석과'와 '사회문화분석팀'으로 분리한다.
통일부는 "이번 직제 개정을 통해 통일부 본연의 기능과 역할은 유지하면서 당면한 업무 수요 변화 등에 따른 조직 효율화를 도모하고자 하였다"고 설명했다. 이번 직제 시행령 개정은 입법예고 후 차관회의와 국무회의 등 절차를 거쳐 공포·시행된다.
이에 따라 통일부 직제는 현재 3실 2국 3관 2단 29과 5팀에서 개편 후 3실 2국 6관 2단 30과 5팀으로 개편되며, 정원은 현재 616명을 유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