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나비대전행동이 16일 오전 대전강제징용노동자상 앞에서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사진 제공 - 대전민중의힘]
평화나비대전행동이 16일 오전 대전강제징용노동자상 앞에서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사진 제공 - 대전민중의힘]

6.15대전본부와 대전민중의힘을 비롯한 대전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은 “윤석열 정부의 강제동원 ‘제3자 변제’ 해법은 대법원 판결을 무시하고 사법주권을 포기한 굴욕해법”이자 “일본과 전범기업에 면죄부를 주는 친일매국 해법”이라고 규정, 규탄했다.

대전지역 56개 딘체의 연대체인 평화나비대전행동은 한일정상회담이 열리는 16일 오전 11시 대전강제징용노동자상 앞에서 한일정상회담 반대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이들은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는 일본이 2018년 강제동원 대법원 판결에 대한 반발조치였고, 지소미아(GSOMIA, 군사정보보호협정) 정상화는 군사기밀과 안보에 해당하는 것으로 일본 재무장에 날개를 달아 줄 뿐 아니라, 한반도 군사안보와 직결된 매우 민감한 사안”이라고 지적했다.

나아가 “일본이 적기지 공격능력을 갖겠다고 선언한 부분에 대해 ‘이해한다’고 일축한 것은 일본자위대 한반도 재진출의 길을 터주는 일”이라고 탄식하고 “윤석열 대통령은 국민자존심을 짓밟은 채, 어느 것도 국익을 앞세운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날 취지발언에 나선 박규용 (사)대전충남겨레하나 상임대표는 “3.1절에 일장기를 걸고 스타가 되었다는 사람, 스스로 친일파가 되겠다고 언론에 공개한 도지사, 그리고 대한민국 수장은 강제동원 역사를 부정하고, 굴욕해법으로 현대판 조공처럼 기시다 정부에 바치려 한다”며 “단재 신채호 선생의 ‘영토를 잃은 민족은 재생할 수 있어도,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말씀을 마음에 새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규탄발언에 나선 추도엽 원불교평화행동 공동대표는 “윤석열 대통령이 방일 전 일본신문들과의 인터뷰에서 역대 일본 내각의 역사인식을 계승하고 미래지향적 한일관계로 가겠다는 말은 정말 어이없다”며 “역대 일본정부의 역사인식은 식민지배 전쟁범죄에 대해 인정도, 사죄반성도 하지 않는 것이다”라고 주장했다.

또한 “반성도 하지 않는 가해자에게 찾아가 엎드려 빌고 있는 형국”이라며 “일본의 식민지총독과 다름없는 윤석열 대통령을 하루빨리 끌어내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음 규탄발언에 나선 이경호 대전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윤석열 대통령의 강제동원 굴욕외교가 과거를 짓밟는 행위라면, 후쿠시마 오염수 문제는 미래를 짓밟은 행위”라며 “윤석열 정부가 국민들의 생명권과 환경주권을 되찾으려 하지 않는다”라고 우려했다.

이어 “윤석열 대통령은 ‘아무말도 하지 않으면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는다’라고 말하지만, 아무말도 하지 않으면 큰일이 난다”고 주장하고 “더 큰 연대가 필요한 때인 만큼 함께 연대해 나가자”고 촉구했다.

기자회견 참가자들이 대전강제징용노동자상 앞에서 ‘강제동원 굴욕해법 무효! 친일매국 윤석열정부 심판!’이라고 쓰여진 피켓을 들고 기념사진을 남겼다. [사진 제공 - 대전민중의힘]
기자회견 참가자들이 대전강제징용노동자상 앞에서 ‘강제동원 굴욕해법 무효! 친일매국 윤석열정부 심판!’이라고 쓰여진 피켓을 들고 기념사진을 남겼다. [사진 제공 - 대전민중의힘]

이들은 끝으로 “윤석열 정부가 국익을 외면한 채, 주권을 포기하는 친일매국·굴욕외교를 이어간다면 국민들의 저항과 심판을 면치 못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