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 처장의 궤변은 강제징용 배상 책임을 일본이 아닌 한국에서 찾는 일본 극우의 논리를 그대로 빼다 박았습니다.”
“식민지배 받은 나라 중에 지금도 사죄나 배상하라고 악쓰는 나라가 한국 말고 어디 있나”라는 석동현 민주평통 사무처장의 폭언에 대해, 더불어민주당 이수진 대변인이 7일 “모멸감을 느낀다”며, 이같이 질타했다.
“반성 없는 일본에 납작 엎드려 배상 책임을 스스로 포기한 윤석열 정부가 당당하다니 ‘당당하다’는 말의 뜻도 모르는 것인가”라며, “아무리 대통령의 40년 친구라도 대통령의 외교참사를 감싸겠다고 대한민국 국민을 모욕할 수 있는가”라고 지적했다.
이 대변인은 “이 정도로 뻔뻔하지 않고는 윤석열 정부의 인사가 될 수 없는 것인가”라고 되물은 뒤 “석동현 민주평통 사무처장은 국민 모욕을 사죄하라”고 요구했다.
이에 앞서, 석동현 사무처장은 7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을 통해 “윤석열 정부의 외교부가 발표한 한·일 강제징용 해법에 마음 깊이 찬동한다”면서 “떼법이 아닌 국제법에 맞는 해법”이고 “새로운 한일관계와 (...)대한민국 미래 세대를 위한 길”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죽창가 부르는 마이웨이, 혼밥하는 나라가 아니라 국제법 규범과 상식을 지켜야 국격을 유지할 수 있다”면서 “아직도 일제 식민지지배하에 있어서 독립운동이라도 해야 하는 것처럼 몰아가는 좌파들의 비참한 인식에서 좀 탈피하자”고 강변했다.
나아가 “일본 천황이나 총리가 사죄 안한 것도 아니다. 여러번 했지만 진정성 없다고 또 요구하고 또 요구하고... 100년 지나서도 바지가랑이 잡아당기면서 악쓸 것인가”라고 주장했다. ‘토착왜구들’의 헛소리를 앵무새처럼 되풀이한 것이다.
이 글에 대한 비판이 쏟아지자, 7일 저녁 석 사무처장은 “악쓰는 나라는 한국”이라는 대목을 삭제했다.
한편, 7일 국무회의에서 윤 대통령은 “그동안 정부가 피해자의 입장을 존중하면서 한일 양국의 공동 이익과 미래 발전에 부합하는 방안을 모색해 온 결과”라며, “한일 간의 미래지향적 협력은 한일 양국은 물론이거니와 세계 전체의 자유, 평화, 번영을 지켜줄 것이 분명하다”고 주장했다.
양금덕 할머니를 비롯한 생존 피해자 3명이 한 목소리로 ‘윤석열정부의 해법’을 거부하는 현실에 대해서는 모르쇠했다.


대기(大器) 품격(品格)의 관용(寬容)-, 역지사지(易地思之)는 대인(大人)
강자(强者)의 도량(度量)이며 긍지(矜持)요, 선린(善隣)의 지혜(智慧)입니다.
교우관계(交友關係) 부부관계(夫婦關係), 노사관계(勞使關係),
여야관계(與野關係), 국제관계(國際關係)에서도 당당(堂堂)한
화목(和睦)의 지혜(智慧)요 천리(天理)입니다.
소인(小人)의 자격지심(自激之心)이 굴종(屈從)으로 감수(感受)합니다.
유념(留念) 기원(祈願)합니다.
Let's make Korea most faithful 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