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경제는 중국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그래서 한국인들이 표적이 되기 더 쉬운 것 같다.”
중국이 한국에 대해 주저없이 ‘공식’ 보복조치를 취한 배경에 대해, 스인훙(时殷弘) 중국 런민대 국제관계학원 교수가 10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설명했다.
지난달 일부 한국 의원들이 대만을 방문한 사실과 한국이 중국에 취할 대응조치가 제한적이라는 점도 지적했다. “중국은 미국이 극도로 나쁜 행동을 한 경우에만 대응조치를 취할 것이나, 한국은 조금만 나쁜 행동을 해도 (중국의) 표적이 될 것이다.”
“다른 서방 국가들에 대해 보복조치를 취한다고 해도 그 강도는 대개 한국에 대한 것보다는 약할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알프래드 우 싱가포르국립대 리콴유공공정책대학원 교수도 이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중국에서 이런 종류의 행위는 아주 전형적”이라며 “이것은 일종의 체면 문제”라고 봤다.
“그들은 자신들이 아주 터프하다는 걸 보여줄 필요가 있고, 또한 이것을 중국 국내에 보여줄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11일 사설에서 “일부 국가가 중국에 대한 차별적 입국 제한 조치를 취한 데 따른 중국의 첫 대응 조치”라며 “이는 상호주의 원칙에 따른 중국의 필요하고 합리적이며 적절한 대응”이라고 주장했다.
“현재 한국은 중국에 대한 가장 엄격한 차별적 입국 제한 조치를 취한 나라들 중 하나”라며, 지난 2일부터 한국 정부가 중국인 여행객에 대한 단기 비자 발급을 중단하고, 중국발 항공편 확대계획 일시적으로 중단했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