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23일 “김정은 위원장이 선택할 문제인데 저는 북한을 망하게 하고 싶은 생각이 전혀 없고 북한이 한국과 번영해 나가기를 희망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방영된 [CNN]과의 인터뷰에서 ‘김정은 위원장을 어떻게 대화의 장으로 이끌 것인가’는 질문을 받고 이같이 말했다. “과연 핵무장을 강화해 나가는 것이 북한이 대한민국과 함께 평화를 유지하고 번영해 나가는 길인지,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는 것.  

‘지난 21일 한미정상회담에서 한미연합훈련을 확대하기로 한 것’과 관련해서는 군대는 훈련을 해야 하고 “한미 동맹군도 한반도의 군사적 안보적 위협에 대처하는 데 필요한 정도의 적절한 훈련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그건 원칙”이라고 덧붙였다. 

‘모든 상황이 2017년으로 돌아가는 것 아닌가’는 지적에 대해, 윤 대통령은 “일시적인 도발과 대결을 피하기 위해서, 많은 사람들은 그걸 ‘굴종외교’라고 표현을 하는데, 저쪽의 심기 내지는 저쪽의 눈치를 보는 그런 정책은 아무 효과가 없고 실패했다는 것이 지난 5년 동안에 이미 증명이 됐다”고 주장했다.

“대한민국 영토 내에 전술핵을 배치하는 문제는 논의되지 않았다”고 선을 그었다.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 참가 이유’에 대해, 윤 대통령은 “우리가 인도·태평양의 역내에 있는 국가들과의 경제교류나 통상을 위해 룰을 만들어 나가는 과정에 적극 참여하지 않는다면 그거는 국익에 대단한 손실이 있을 것이기 때문에 당연히 참여를 해야 된다고 보고 있다”고 답했다.

‘중국의 경제보복 가능성’에 대해서는 “우리가 안보나 기술 문제에 있어서 미국과의 동맹을 강화한다고 해서 중국과의 경제협력을 소홀히 하겠다는 뜻은 절대 아니기 때문에 중국 측에서 이거를 너무 과민하게 생각하는 것은 저는 합리적이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23일 오후 IPEF 출범식에 화상으로 참석한 윤 대통령. [사진제공-대통령실]
23일 오후 IPEF 출범식에 화상으로 참석한 윤 대통령. [사진제공-대통령실]

23일 오후 ‘IPEF 출범 정상회의’에 화상으로 참가한 그는 “오늘 IPEF 출범은 급변하는 경제 환경 속에서 역내 국가 간 연대와 협력의 의지를 보여주는 의미 있는 첫걸음”이라며 “IPEF가 ‘개방성', ‘포용성', 그리고 ‘투명성'의 원칙하에 추진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일본을 방문 중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주도한 이날 출범 선언문에는 한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인도,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필리핀, 인도네시아, 베트남, 태국, 브루나이까지 총 13개국이 서명했다. 

이에 대해,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왕이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이 지적했듯 중국은 역내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역내 협력 강화 구상에는 긍정적이지만 분열과 대결을 조장하려는 시도에는 반대한다”고 밝혔다.

그는 “미국은 경제 문제를 정치화, 무기화, 이데올로기화하면서 경제적 수단으로 지역 국가들이 미·중 사이에서 선택하도록 압박하는 것 아닌가”면서 “인위적인 경제 디커플링, 기술 봉쇄, 산업 사슬 끊기, 공급망 위기 증폭은 세계에 엄중한 결과만을 가져올 뿐이고 미국도 예외일 수 없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