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민 이양재(白民 李亮載) / 애서운동가(愛書運動家)

 

‘디아스포라(Diaspora)’라는 단어가 있다. 그 단어는 “팔레스타인을 떠나 세계 각지에 흩어져 살면서 유대교의 규범과 생활 관습을 유지하는 유대인”을 지칭하는 의미이다. 그러나 그 의미는 확장되어 “본토를 떠나 타지에서 자신들의 규범과 관습을 유지하며 살아가는 민족 집단 또는 그 거주지를 가리키는 용어”로도 사용되고 있다.

우리 민족도 일제 강점기 시대에 동만주나 북만주에서 디아스포라 생활을 하였고, 지금 일본 교토의 우토로마을(ウトロ地区)이나 우즈베키스탄 타시겐트의 고려인들도 디아스포라인(人)인 셈이다. 쿠바나 멕시코에도 대한제국 시기에 흘러 들어간 우리의 동족들이 있다. 우리 민족의 디아스포라도 그 흩어진 지역이 유태인 만큼 다양하다.

현재 한반도는 동에서 서로 길게 그어진 DMZ가 있다. DMZ 이전에는 미군이 점령자로서 일방적으로 그은 38선이 있었다. 지금 DMZ는 전쟁과 분단의 세계적인 상징이 되었다.

독일은 제1차세계대전과 제2차세계대전을 일으키고, 그 전쟁을 일으킨 죄로 인하여 독일이 분단되었다. 그러나 동북아의 일본은 1895년 청일전쟁과 1905년 러일전쟁, 1931년 만주사변, 1937년 중일전쟁, 1941년 대동아전쟁과 태평양전쟁을 연이어 일으켰고, 1945년에 패전하였지만 일본이 분단된 것이 아니라 미국에 의하여 애매하게도 한반도가 분단되었고, 제3차세계대전의 규모로 한국전쟁이 일어났다. 이것이 억울한 것이다.

우리 민족의 디아스포라와 현대사의 모든 비극은 이때의 한반도 분단에서 시작되었다. 한반도의 분단은 일제의 조선강점에서 시작되었고, 일제의 조선강점은 대한제국의 무능한 군주와 친일 매국노들로부터 시작되었다.

현재 분단된 남북이 분단과 적대적 대립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그 근본 원인에 맞는 처방을 하여야 한다. 일제의 식민지 통치가 뿌린 독소를 제거하고 이타적(利他的) 사대성(事大性)을 청산하고 자주적 민족정신이 충만해야 한다.

마침 문재인 정부는 2018년 4월 27일, 김정은 위원장과의 판문점 공동선언에서 “서로를 향한 모든 적대행위를 전면 중지하고 비무장지대(DMZ)를 평화지대로 만드는 데 합의”했다. DMZ 내 감시초소(GP) 철거 등 후속 조치도 진행되기 시작했다.

이에 이어 문재인 대통령은 2019년 9월 24일 유엔총회 연설에서 DMZ를 국제평화지대로 만들자는 구상을 밝혔다. "유엔과 모든 회원국에 한반도의 허리를 가로지르는 비무장지대를 국제평화지대로 만들자는 제안을 하고자 한다"라고도 말하였다.

당시 필자는 지인에게 청와대에서의 사업계획이 있는가를 물어보았다. 구체적인 계획은 아무것도 없이, 문재인 대통령이 원론적인 사업 의사만 밝힌 것이었다. 당시 이를 확인한 필자는 공연장과 전시장 회의실 등등을 포함한 《Korean 디아스포라 추모공원》을 제안하며 안중근(安重根, 1879~1910)과 홍범도(洪範圖, 1868~1943) 등등의 민족 영웅들을 그곳에 모시자고 제안하였다. 2019년 제2회 북미정상회담이 베트남에서 깨진 이후이긴 하지만 충분히 남북의 합의가 가능한 시점이었다. 그러나 북미 간의 대화가 단절되면서 2021년 8월 18일, 홍범도(洪範圖, 1868~1943) 장군의 성체는 환국(還國)하여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다. 매우 실망스러운 문 정부의 치졸한 성과였다.

DMZ 안에 남북이 공동 관리할 우리 민족의 디아스포라 추모공원을 남북이 공동 설립할 것을 제안한다. [갈무리사진 - 네이버지도]
DMZ 안에 남북이 공동 관리할 우리 민족의 디아스포라 추모공원을 남북이 공동 설립할 것을 제안한다. [갈무리사진 - 네이버지도]

필자는 옛 경기도 장단군 지역, 현재로는 북측의 황해남도 장풍군과 남측의 경기도 파주군 지역 일부에 남북이 공동 관리할 수 있는 우리 민족의 디아스포라 추모공원을 남북이 공동 설립하기를 바란다. 휴전선을 관통하여 남북이 교류할 수 있는 공연장과 미술관 및 전시장, 회의장 및 컨벤션 시설, 추모공원이 들어가야 할 것이다. 지금의 판문점의 공동관리구역에 인접한 동쪽 지역을 대거 확장해도 좋다.

그런데 현실적으로는 DMZ에 《Korean 디아스포라 추모공원》를 설치하기란 남북이 합의했다고 해도 불가능하다. DMZ는 UN군사령부가 관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남측의 민통선 지역은 UN군사령부의 관할이 아니다. 남북 간의 정세가 허용하지 않고 있지만, 외세가 한반도를 지배해도 우리 민족주의자들에게 《Korean 디아스포라 추모공원》은 절실하게 필요하다.

필자는 DMZ의 대안으로 제주 4.3평화공원의 3단계 사업으로 《Korean 디아스포라 추모공원》이 확장되기를 생각해 본다. 제주 4.3은 그 한 기간의 사건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우리 민족에게 국내적으로 제주 4.3은 1894년 동학농민운동 학살이라든가 1919년 3.1운동 학살진압, 그리고 1920년 경신년 대학살 등등 근대사에서의 제국주의 학살이 해방을 기점으로 하는 현대사로 넘어오면서 계속된 것이고, 국외적으로는 독일의 나치가 자행한 유태인의 ‘홀로코스트’와 일제의 중국 ‘남경대학살(南京大虐殺, 1937~8)’, 또한 일제의 ‘오키나와 대학살(1945년)’ 등과 그 맥락이 같다고 할 수 있다.

제주 4.3을 이러한 연결선상에서 보아야 그 성격이 분명해 진다. 지난 5월 10일 윤석열 당선인은 대통령에 취임하였다. 그가 공약으로 제시한 것 중 하나가 “가족관계 특례 신설 등 합리적인 보상으로 제주 4.3 완전해결”이었다. 과연 “윤석열 정부와 국힘당은 4.3평화공원의 3단계 확장에 협력할 것인가?”가 제주도민들의 관전 포인트이다. 제주 4.3의 완전 해결은 돈으로의 보상이 아니라 명예를 회복시켜 주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ㅇ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