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과학연구소(ADD)는 30일 “순수 우리 기술로 개발한 고체추진 우주발사체의 성능 검증을 위한 첫 번째 시험발사에 성공하였다”고 밝혔다. 

시험 목적은 우주발사체의 필수 기술인 대형 고체 추진기관, 페어링 분리, 단 분리, 상단부 자세제어 기술을 검증하기 위함이다. 지난해 5월 한·미 간 ‘미사일지침’ 종료와 7월 고체추진기관 연소시험 성공 이후, 8개월 만에 이뤄진 것이다.

국방과학연구소는 “고체추진 우주발사체는 추가 검증을 완료한 뒤 실제 위성을 탑재하여 발사할 예정”이라며, “향후 소형위성 또는 다수의 초소형 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투입시킬 수 있는 우주발사체 개발로 이어질 예정”이라고 밝혔다.

“확보된 기술은 민간으로 이전(Spin-off)될 것으로, 향후 국내 우주산업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현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민간기업이 개발중인 소형발사체 발사 등을 지원하기 위해 나로우주센터 내 신규발사장 등을 구축하고 있다.

국방과학연구소는 “최근 북한이 모라토리엄을 스스로 파기하는 ICBM(대륙간탄도미사일)을 발사하는 등 매우 엄중한 시기에, 이번 고체추진 우주발사체의 시험발사 성공은 우리 군의 독자적 우주기반 감시정찰 분야의 국방력 강화에 있어 중요한 이정표”라고 자평했다.

앞으로도 “우리 군은 우주영역이 국가안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핵심영역임을 인식하고, 고체추진 우주발사체를 비롯하여 합동성에 기반한 국방 우주전력을 조기에 확충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앞서, 한국군은 지난 24일 북한의 신형 ICBM 시험발사 직후 동해상에서 ‘현무-II 지대지미사일’ 등을 동원한 합동 지해공미사일 사격을 했으며, 25일에는 ‘F-35A’ 28대를 동원해 ‘엘리펀트 워크’ 훈련을 하는 등 대북 무력시위를 실시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