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타협적이며 장기적인 활로를 모색하기 위하여 모든 유관국을 포함한 협상 과정을 재개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세르게이 라브로프(Sergey LAVROV) 러시아 외교장관은 27일 모스크바를 방문한 정의용 외교부장관과 회담 및 오찬 협의를 가진 뒤 기자들 앞에 나서 이같이 말했다.
러시아도 한반도 문제에 대해 ‘유관국’으로서 참여할 수 있는 ‘6자회담’과 같은 협상과정을 선호한다는 뜻으로 읽힌다.
라브로프 장관은 “한반도와 동북아 정세도 구체적으로 분석했다”며 “지역의 모든 이슈는 정치·외교적 방법으로만 해결할 수 있다고 확인했다”고 말하고 “모든 당사자들이 긴장을 유발할 수 있는 모든 행위를 삼가야 할 중요성도 지적했다”고 밝혔다.
긴장 유발 행위를 삼가야할 주체로 ‘모든 당사자들’을 적시한 점이 눈에 띈다. 최근 미사일 시험발사에 나선 북한은 물론 국방력 강화를 추구하고 있는 우리 나라와 한미합동군사연습을 함께 한 미국 등을 모두 겨냥한 것으로 풀이된다.
라브로프 장관은 2004년부터 외교장관을 맡고 있는 베테랑으로 지난 3월 방한해 한러수교 30주년을 기념하는 ‘한러 상호교류의 해’ 개막식에 참석했고, 정의용 장관은 7개월 만에 방러해 폐막식에 참석했다.
정의용 장관은 “오늘 회담에서 나는 라브로프 장관과 양국관계의 발전 방안과 한반도 정세에 대해 심도있는 협의를 했다”며 “향후 코로나19 상황이 안정되는 대로 푸틴 대통령의 방한을 조기에 추진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한러 정상은 지난 4년간 다섯 차례 정상회담을 가졌지만 코로나19로 인해 지난해와 올해는 한 차례도 만나지 못했다.
정 장관은 특히 “우리 양국은 북핵문제의 시급성에 공감하고 한반도 프로세스의 조기 재가동을 위해 양국이 각급에서 긴밀히 소통하고 협력해나가기로 했다”면서 “현 상황에서 한반도 정세의 안정적 관리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데 인식을 같이하고 대북 대화의 조속한 재개를 위한 다양한 협력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고 전했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다.
아울러 “우리측은 러시아 측이 남북관계 증진 및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를 일관되게 지지해온 것을 평가하고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정착을 위해 앞으로도 러시아가 건설적 역할을 계속해줄 것을 요청한다”고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외교부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양 장관은 인프라·조선·보건 등 ‘9개다리’ 분야를 중심으로 한러 실질협력을 지속 발전시켜 나가면서, 미래성장 협력 분야도 적극 발굴해 나가기로 했다”며 “한러 서비스․투자 FTA를 조속히 체결하여 양국 경제협력 확대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강화하고, 보건의료, 북극, 수소 등 분야를 중심으로 미래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협력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고 전했다.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올해 3분기 한러 교역량은 약 188억 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47% 이상 증가했고 연해주 산업단지 조성 사업과 LNG 쇄빙선 공동건조 등이 진행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