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일평양선언 발표 19주년을 맞아 ‘조선전쟁의 종결과 일조 국교정상화 교섭의 재개를!’이라는 주제로 기념집회가 18일 도쿄 분쿄구민(文京区民)센터에서 진행되었다고 재일 <조선신보>가 22일 보도했다.
이날 집회에서는 주최 측을 대표하여 일한(日韓)네트 와타나베 켄쥬(渡辺健樹) 공동대표가 인사말을 통해 “아베-스가 정권은 ‘조선과의 무조건 대화’를 거듭 표명했으나 그 전제에는 적대시정책과 납치문제의 해결 없이 국교정상화는 없다는 자세가 있다”면서 “그자체가 평양선언에 대한 왜곡이며 재일조선인에 대한 인권침해문제를 포함하여 일조관계가 한 발자국도 전진하지 못한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와타나베 공동대표는 “바야흐로 자민당 총재선거와 중의원선거가 치러지는데 우리는 일본정부가 동북아시아의 평화에 기여하며 일조 국교정상화 교섭을 재개하도록 적극 촉구해나가야 한다”면서 “명년에 맞이하는 평양선언 20주년을 향하여 운동을 더욱 강화해나가는 계기로 되게 하기 위해 오늘 집회를 개최하려 한다”고 취지를 말했다.
이날 집회에서는 강연과 특별보고가 있었다.
‘신외교 이니셔티브’(ND)의 사루타 사요(猿田佐世) 대표는 ‘바이든 정권의 동아시아 전략’이라는 제목의 강연에서 “바이든 정권이 동맹국들과의 협력강화를 통해 중국에 맞서나가자고 하는 가운데 일본이 취해야 할 태도는 동아시아에 분단을 가져오는 미중대립을 반대하는 동아사아나라들처럼 미국에 대해 확고한 자주외교를 전개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NPO법인 피스데포 우메바야시 히로미치(梅林宏道) 특별고문은 ‘조미대화와 일본의 과제’라는 제목의 강연에서, 먼저 북미대화의 현황을 확인하고 한반도 핵문제에 대한 북한의 원칙적 입장과 북미사이 교섭의 경위를 개괄하면서 “대화재개의 공은 조선 측이 아니라 미국 측에 있다. 바이든 정권이 어떤 제안을 제시하는가가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재일본조선인인권협회 사무국 박김우기 부장은 ‘국제인권 기준에서 본 코로나재앙 속에서의 조선학교 차별’을 주제로 한 특별보고에서, 지난해 3월에 사이다마시가 마스크배포 대상에서 사이다마유치반을 제외한 문제, 일본정부가 ‘학생지원 긴급급부금’ 제도에서 조선대학교를 제외한 문제를 언급하고 일본정부를 향해 차별시정을 촉구한 유엔 특별보고자의 공개서한을 소개하면서 차별의 부당성을 까밝혔다.
또한 한국진보연대 한충목 상임대표는 영상메시지를 통해 지난 8월까지 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를 비롯한 남측의 시민단체들이 벌려온 한반도의 자주적 평화통일 실현을 위한 공동행동에 일본시민단체가 적극 연대한데 대해 사의를 표하고 “평화를 지향하는 시민들이 힘을 합쳐 한반도의 통일과 동아사아의 진정한 평화를 실현하자”라고 호소했다.
이날 집회는 ‘조선반도와 일본에 비핵, 평화확립을! 시민연대운동’(시민연대운동)이 주최했으며, 재일동포, 일본시민들 약 130명이 참가했다.
시민연대운동에는 일한네트, 피스보트, 아이들과교과서전국네트21, 오가와마치기획(小川町企画)을 비롯한 일본시민단체들과 재일한국민주통일연합(한통련)이 참여하고 있다.
한편, 북일 국교정상화 등이 담긴 북일평양선언은 2002년 9월 18일 당시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과 고이즈미 일본 총리 간에 평양에서 합의됐지만, 이후 일본인 납치문제로 인한 일본 국내의 여론 악화로 더 이상 진전되지 않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