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강진욱 기자(kjw@yna.co.kr)


30일 시작될 남북이산가족 2차 교환 방문과 내달 13일부터 진행할 3차 남북적십자회담은 일단 일정대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남북적십자회담 북측 대표인 최승철 단장이 9일 남측 회담 대표인 박기륜(朴基崙) 대한적십자사 사무총장 앞으로 전통문을 보내 30일 시작되는 2차 방문단 교환과 관련해 기념품과 현금을 제한할 것을 요구했기 때문이다.

이 전통문은 북측 회담 대표가 30일 시작되는 2차 방문단 교환을 일정대로 진행할 뜻을 비췄다는 점에서 10일로 예정된 2차 방문단 후보 가족의 생사확인 명단 교환도 차질없이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이 점에서 9일 북측이 보내 온 전통문은 지난 3일 북적 `성명`으로 시작된 장충식(張忠植) 한적 총재의 월간조선 10월호 인터뷰 사건은 일단 물밑으로 가라앉히는 효과를 발휘했다.

북측은 이에 앞서 8일 밤 11시께 평양방송을 통해 장 총재의 인터뷰에 대한 2차 `성명`을 발표했으나 3일 1차 성명처럼 조선적십자회 `중앙위원회 성명`이 아닌 조선적십자회 `중앙위원회 대변인 성명` 형식을 취함으로써 대응 수위를 낮췄다.

8일자 성명 내용 또한 이산가족 방문단 교환과 적십자회담 자체를 재검토하겠다는 1차 성명과 달리 장 총재의 본의가 아니라면 월간조선측에 시정을 요구해야 한다는`자체 해결` 방식을 촉구했다.

북측은 1,2차 성명과 9일 전통문을 통해 장 총재 인터뷰 건에 대한 반응 수위를 점차 낮추면서 이산가족 교류 사업을 예정대로 진행할 것임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는 이산가족 사업이 남북 체제의 이질감을 강조하는 쪽으로 잘못 흘러가는 것에 대해서는 철저히 대응하되 이산가족 교류 사업 자체를 미루거나 물릴 수는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볼 수 있다.

2차 이산가족 교환 방문이나 3차 적십자회담이 일정대로 진행할 가능성이 커짐으로써 정부와 한적은 일단 한 숨을 돌릴 수 있게 됐다.

장 총재 인터뷰가 본의와 달리 북한 체제를 비난하는 결과를 가져와 북측이 이를 엄중히 항의한데 이어 남측은 바로 다음날 `해명 서한`을 은밀히 발송해 놓고 시치미를 떼다 또 북측이 성명을 발표하고서야 발송 사실을 시인하는 등 좌충우돌하는 양상을 보임으로써 언론과 국민들로부터 지탄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산가족 사업이 일정대로 진행돼 장 총재 인터뷰 사건이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다고 해서 사태가 완전히 해결된 것은 아니다.

북적이 2차 성명에서 밝혔듯이 장 총재 인터뷰 건에 대한 남측의 해결을 계속 촉구할 것이 분명하다.

따라서 정부와 한적은 앞에서는 이산가족 교류 사업을 진행하면서도 뒤에서는 대책 찾기에 골머리를 앓을 것으로 관측된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