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날 한미 대북정책 수석대표 협의를 가진 노규덕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 본부장은 23일 오전 류샤오밍(劉曉明) 중국 외교부 신임 한반도사무특별대표와 첫 유선협의를 가졌다.

외교부는 23일 보도자료를 통해 “양측은 최근 한반도 정세 평가 및 전망 관련 의견을 교환하고,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정착에 진전을 가져오기 위한 한중간 협력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며 “양측은 가능한 조속한 시일 내 대면 협의 등 다양한 방식으로 한반도 문제 관련 양국 간 협의를 지속해 나가기로 하였으며, 노 본부장은 류 특별대표의 방한을 초청하였다”고 밝혔다.

외교부에 따르면, 노규덕 본부장은 북한의 대화 복귀를 견인하기 위한 중국의 역할을 당부하였고, 류샤오밍 특별대표는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진전을 위한 그간의 우리측 노력을 평가하면서, 중국의 건설적 역할을 통한 협력 의지를 재확인했다. 류 특별대표는 주북한대사를 거쳐 주영국대사를 지낸 베테랑이다. 

전날 한미 대북정책 수석대표 협의에서 노 본부장은 “한국 정부는 한·미간 협의와 조정을 통해 북한과의 조속한 대화 재개를 위한 필요한 역할을 계속해나가겠다”고 말했고, 성김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는 “우리는 여전히 평양으로부터의 회신을 기다리고 있고 김(정은) 위원장이 언급한 ‘대화’란 우리가 조만간 긍정적인 반응을 얻을 것이라는 것을 시사해주길 바란다”고 말한 바 있다.

따라서 노 본부장이 북한의 대화복귀를 위한 중국의 역할을 당부한 것은 한미의 대화 제안에 북측이 호응해 나서도록 중국측의 협조를 구한 것으로 풀이된다. 류 특별대표는 협력 의지를 재확인하는 것으로 화답한 셈이다.

이처럼 한미는 물론 중국까지 북측에 북미대화와 남북대화를 제안하고 있지만 정작 북한은 아직 대화에 나서겠다는 뚜렷한 신호를 발신하지 않고 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여동생 김여정 당중앙위 부부장은 22일자 담화를 통해 “스스로 잘못 가진 기대는 자신들을 더 큰 실망에 빠뜨리게 될것”이라고 오히려 비판적 기류를 전했지만 비판 강도나 분량 등을 감안하면 북측이 대화 재개를 앞두고 힘겨루기를 하는 모양새라는 평가도 나오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