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간 영화부문 교류협력사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북한영화를 국산영화로 인정하는 정치.법률적 방안이 검토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동호 부산국제영화제집행위원장은 25일 오후 1시 서울 장충동 소재 민주평통자문회의 회의실에서 열린 정책토론회에서 `남북 영화부문 교류협력 방안`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김 위원장은 또 `남북한에서 열리는 영화제에서 (남북영화)특별기획전을 열 경우 영화분야 교류협력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남북 영화부문 교류협력을 위한 방안과 관련,`베이징(北京)을 거점으로 남북이 영상기술분야 협력사업을 추진하면서 북한내로 영상센터를 이전하는 방안이 검토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유지나 동국대 교수는 토론을 통해 `남북 영화 교류는 제작환경의 차이, 영화 미학의 차이, 관객의 기대치 차이, 남한의 상업적 메커니즘과 북한의 당의 지배통제 라는 기능적 이질감 등으로 수용이 쉽지 않다`면서 `이같은 난제들을 해결해 나갈 실행안이 먼저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영화평론가 이효인씨는 `북한은 자신들의 영화에 대해 자긍심과 열등감을 동시에 갖고 있다`면서 `북한 영화에 대한 이같은 이중적 감정을 건드리지 않으면서 교류를 이끌어내고 이를 대중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합2000/10/26)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