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 의원은 이날 국회 국방위의 육군본부에 대한 국감에 앞서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이같이 말하고 "이 보고서에 의하면 당시 살포작전에 투입된 부대는 6군단 2개
대대, 5군단 5개 대대, 2군단 1개 중대, 미 1군단 1개 대대 등 모두 9개 대대였고,
연인원 5천700명이 투입됐다"고 밝혔다.
국방부는 지난해 고엽제 살포가 68년4월15일부터 5월30일까지, 69년5월19일부터
7월31일까지 두 차례 이뤄졌다고 공식 발표한 바 있다.
이어 강 의원은 "고엽제 살포 인접지역의 민간인 거주현황은 서부전선에만 6개
마을에 걸처 725가구에 2천464명이었던 것으로 밝혀졌고, 당시 병사들이 `고엽제를
철모에 담아 손으로 뿌렸다`는 증언을 확보했다"고 말했다.
또 강 의원은 "군 수뇌부가 남북정상회담 이후 육군 땅굴탐사대에 `비무장지대
안에서 땅굴탐사를 중지하라`는 지시를 하달해 대북 땅굴 탐사작업이 전면 중지된
상태"라고 주장했다.
강 의원은 "군 수뇌부가 북한을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를 들어 이같은 지시를
내렸다"며 "현재 DMZ내에는 북한이 관리중인 땅굴이 최대 20개에서 최소 14개가 존
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2000/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