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7년 대선 당시 김대중(金大中)후보와 김영삼(金泳三)후보의 ‘야권후보 단일화론’을 제기해 결과적으로 당시 김영삼후보를 지지했다는 평가를 받았던 재야 시민단체 인사들이 최근 남북문제에 관한 YS의 행보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숭실대 철학과 이삼열(李三悅)교수 등 과거 민주화운동을 함께 했던 인사들은 얼마 전 모임을 갖고 YS의 대북 관련 행보가 “우려스러운 수준”이라는 데 의견을 모았다.
이에 따라 이교수는 14일 YS의 상도동 자택을 방문해 “대북정책을 비판할 수는 있지만 북한 김정일(金正日)국방위원장의 답방을 반대하는 서명운동까지 벌이는 것은 역사의 흐름을 거스르는 일”이라며 서명운동 중단을 요청했다.
그러나 YS는 “정의의 길이라면 천만인이 반대해도 나의 길을 갈 것”이라며 “국민의 70% 이상이 서명운동을 지지하고 있다”고 반박했다고 한나라당 박종웅(朴鍾雄)의원이 전했다.이교수가 다시 “(YS의) 정보와 사실 파악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서명운동을 할 것이 아니라 김위원장에게 적화통일 포기를 선언하고 오라고 하면 되지 않는가”라고 말하자, YS는 “공산당들이 약속을 지키겠는가. 서명운동은 제2의 3·1운동”이라며 끝까지 뜻을 굽히지 않았다는 것.

동아일보 2000.9.16




YS ‘마이웨이’/서명운동 자제 요청에 “정의의 길간다”뿌리쳐

김정일 규탄대회와 서명운동 등을 추진 중인 김영삼(김영삼) 전 대통령에 대해, 그와 가까웠던 재야출신 인사들이 자제를 요청했지만, 김 전 대통령은 “내 갈 길을 간다”고 뿌리친 것으로 15일 알려졌다.
숭실대 이삼열(이삼열) 교수, 박형규(박형규)·서경석(서경석) 목사 등 종교·시민단체·학계 인사 7~8명은 최근 이와 관련한 모임을 가진 뒤, 이 교수가 14일 김 전 대통령의 상도동 자택을 방문했다.
이 교수는 “대북 정책 비판은 좋지만 규탄대회, 서명운동까지 벌이는 것은 국민 여론에도 위배된다”며 “김정일 위원장의 답방 자체를 반대할 것이 아니라 적화통일 포기 선언을 요구하는 등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라는 뜻을 전달했다.
그러나 김 전 대통령은 “제2의 3·1운동을 하는 것이다.
정의의 길이라면 1000만명이 반대해도 간다”면서 “김정일은 아웅산 테러와 대한항공기 폭파에 대해 민족에게 사죄해야 한다”고도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덕한기자

조선일보 2000.9.16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