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유엔 안보리에서 북한 인권 상황이 논의되지 못해, 2년 연속 무산됐다고 <미국의소리>(VOA)가 11일 보도했다.

VOA에 따르면, 안보리 15개 이사국 가운데 적어도 8개국이 ‘세계 인권의 날’인 10일 북한 인권에 관한 회의를 개최하는 방안을 추진했지만, 미국이 찬성하지 않아 무산됐다.

대신 미국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도발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기 위한 안보리 회의를 11일에 열자고 요청했다.

미 국무부는 최근 한반도에서 벌어진 일련의 사건들과 트럼프 대통령의 안보리 상임이사국 대사들과의 회동을 고려해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유엔 소식통들은 10일 VOA에 보낸 이메일에서, 안보리 회의 소집에 필요한 정족수를 채우는 것이 가능한 올해도 안보리가 북한 상황을 논의할 기회를 갖지 못한 데 대해 실망감을 표시했다면서, 인권 문제를 다른 고려사항들과 결합시키거나 비핵화 회담의 협상 수단으로 이용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워싱턴의 민간단체인 ‘북한인권위원회’의 그레그 스칼라튜 사무총장은 VOA와의 전화통화에서, 안보리 북한 인권 논의가 2년 연속 무산돼 실망이 크다고 말했다.

스칼라튜 사무총장은 북한의 핵과 장거리 미사일들이 전 세계 안보를 위협하는 중대한 문제라는 점을 이해한다며, 하지만 문제 해결을 위해 북한 인권을 희생시켜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뉴욕에 본부를 둔 국제 인권단체 ‘휴먼 라이츠 워치’의 루이 샤르보노 유엔 담당 이사도, 안보리가 북한의 지독한 인권 기록을 검토할 기회를 미국이 또 다시 막았다고 말했다.

한편, 미국은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COI)가 최종보고서를 통해, 북한에서 반인도범죄에 해당하는 인권 유린이 계속 자행되고 있다고 밝힌 2014년부터 안보리에서 북한 인권 논의를 주도했다.

하지만 지난해에는 회의 소집에 필요한 9개 이사국의 동의를 얻지 못하면서 4년 만에 처음으로 안보리의 북한 인권 논의가 무산됐다.

북한은 안보리가 북한 인권을 논의할 때마다 강력히 반발해 왔다.

앞서 유엔주재 북한대표부의 김성 대사는 지난 4일 안보리 이사국들에 보낸 서한에서, 북한 인권을 논의하는 안보리 회의를 “또 다른 심각한 도발”로 규정하고 “최후까지 강력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