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북 군 인사들이 30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군정위회의실(T-3)에서 완성된 한강하구 공동이용수역 해도를 들고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제공-국방부]

1953년 정전협정 체결 이후 65년 만에 처음으로 남북 공동조사의 결실인 ‘한강.임진강 하구 공동이용수역 해도’가 완성됐다. 정부는 30일 판문점을 통해 북측에 완성된 해도를 전달할 예정이다.

강용석 국립해양조사원장은 30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해양수산부 기자실에서 브리핑을 열고, “남북 간 긴장 완화와 신뢰 구축의 실질적 결과로 민감수역에서 평화의 장소로 탈바꿈하게 된 한강하구 공동이용수역에 대한 역사적인 첫 ‘남북 공동수로조사’를 완료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공동이용수역에 대한 최초의 해도를 제작하였다”고 밝혔다.

남북 각각 10명으로 구성된 남북 공동조사단이 지난해 11월 5일부터 12월 9일까지 강화도 말도에서 파주시 만우리 구역까지 약 70km, 면적 약 280㎢에 대한 수로측량 및 조석관측 등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한강.임진강 하구 공동이용수역 해도’를 완성한 것.

강용석 원장은 “군사분계선이 존재하지 않는 한강하구는 1953년 정전협정 이후 지난 65년간 우발적 충돌 발생 가능성 때문에 민간선박의 자유항행 자체가 제한됐다”며 “‘9.19 군사합의’를 통해 민간선박의 자유항행에 대한 군사적 보장이 합의됨에 따라, 선박 항행의 필수정보인 해도 제작이 가능하게 되었다”고 설명했다.

▲ 한강.임진강 하구 공동이용수역 해도. [자료제공-해양수산부]

제작된 해도는 항행하는 선박의 안전을 확보하는 데 필요한 뱃길 정보를 제공하는 도면으로, 축적 6만 분의 1로 제작됐으며, 수심, 해안선, 암초 위치 등이 표기됐다.

그리고 크고 작은 간사지와 사주, 1m 미만의 얕은 수심이 표기되어 있고, 강화도 말도부터 강화도 교동도 서쪽, 강화도 인화리에서 월곶리 앞까지가 수심 2m 이상인 최적의 항로라는 내용이 담겨있다.

임관창 국립해양조사원 기획예산계장은 “강화도 북측 인사리 쪽은 약 한 0~2m 정도의 얕은 수심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 지역은 조석에 따라서 통과 여부가 결정될 수 있는 수역”이며, “교동대교를 중심으로 해서 북측의 삼달리를 통하는 수직 방향의 수로가 존재하고, 다시 강화도 월곶리 앞쪽에 잠깐 깊은 수로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전체적으로 수로 내용을 보면 0~5m까지의 수심이 사행하는 모양으로 뱃길이 되어 있는데, 중간 중간에 얕은 수심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 지역을 항해하는 선박은 그날에 운항하는 시간대의 조석 정보가 반드시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이번 해도 제작은 한강하구 공동이용으로 연계되지는 않는다. 국제사회 대북제재와 연관되어 있다는 판단에서다.

임관창 계장은 “해도 제작만을 완료했기 때문에 이후의 경제활동에 대해서는 아마 추후에 논의가 되지 않을까 생각이 된다”고 말했다.

남북 공동조사의 결과물로 작성된 해도는 30일 판문점 남북군사실무회담을 통해 북측에 전달된다.

강용석 원장은 “이번에 제작한 해도가 남북 공동이용수역에서 안전하고 자유로운 항행을 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임 계장도 “해도는 가장 기본적으로 선박이 항해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필수정보이다. 이제는 선박이 항해할 수 있는 기초정보가 생산된 것”이라며 “통일 이후에는 이 지역에 대해서 다양한 경제활동이 가능할 거로 판단을 하는데, 그 기초자료가 이번에 처음으로 만들어졌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 남북 군 인사들이 30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군정위회의실(T-3)에서 황준 해양수산부 수로조사과장(가운데)으로부터 해도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제공-국방부]

한편, 국립해양조사원은 이번에 제작된 한강하구 해도와 기존에 제작된 주변 해역 해도를 연계한 전자해도 및 종이해도를 제작할 계획이다. 그리고 이번 해도는 뱃길을 위한 개략적 수로조사 결과만 담겨 있어, 추가 정밀조사가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강 원장은 “민간선박의 안전하고 자유로운 항행을 위해서는 앞으로 지속적인 정밀 수로조사를 통해 최신 정보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