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한 언론이 11월 중순 스위스 제네바, 스웨덴 스톡홀름 등 유럽 지역에서 제2차 북미정상회담이 열릴 수 있다고 16일 보도했다. 

북한과 미국이 자국 수도에서 회담 개최를 우선순위로 고집하는 경우, 절충안은 제3국 개최일 수밖에 없다. 올해 6월 12일 싱가포르 센토사섬 카펠라호텔에서 열린 제1차 북미정상회담이 그 증거다. 

지난 7일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의 방북 이후 흘러나오는 얘기들에 따르면, 북한이 평양, 미국이 워싱턴 DC를 접고 양국 모두의 대사관이 있는 중립지역에서 2차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이 ‘싱가포르가 아닌 3~4곳’이라고 밝힘에 따라, 유럽 내 중립국들인 스위스의 제네바와 스웨덴의 스톡홀름 등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두 곳은 한반도와 인연이 깊다. 제네바는 1994년 10월 ‘북.미 제네바 기본합의’가 타결된 곳이다. 스톡홀름은 2014년 5월 ‘북.일 스톡홀름 합의’가 체결된 곳이다. 게다가 평양에 있는 스웨덴 대사관은 북한 내에서 미국인에 대한 영사적 보호권을 대행하고 있다.     

더 거슬러 올라가면, 두 나라는 정전협정(1953. 7. 27)에 따라 설치된 중립국감독위원회의 일원이었다. 정전협정은 유엔사 측 장교 5명과 북한.중국 측 장교 5명으로 군사정전위원회를 설치해 협정 이행을 감독하고 위반사건을 협의하여 처리하도록 했다. 또한 유엔사 측에서 스위스와 스웨덴, 북한 및 중국 측에서 체코슬로바키아와 폴란드를 지명해 중립국감독위원회를 설치하도록 했다. 

그 중에서도 스위스 제네바는 1954년 4월 ‘한반도 평화’ 회담이 열렸던 곳이다. 정전협정 4조 60항은 ‘정전 후 3개월 내에 정치회담을 열라’고 규정하고 있다. 미국과 소련은 각각 유엔군 측 15개국(16개국 중 남아공 불참), 북.중을 초청해 ‘한반도 평화협정 및 재통일’ 문제를 논의했다. 

냉전이 본격화되던 그 시절 양측은 날선 공방을 주고받았을 뿐 평화협정 논의를 진전시키지 못했다. 11월 중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네바에서 만난다면 64년 전과는 다른 그림이 펼쳐질 가능성이 높다. 그 역사적 장소에서, 70년 간 앙숙이었던 두 정상이 지구상 마지막 남은 냉전지대인 한반도에서 전쟁이 끝났음을 선언할 수 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에게 스위스는 개인적으로 친숙한 곳이다. 10대 후반기에 3년 간 스위스 베른 교외에 있는 국제학교를 다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지난 7일 평양에서 만난 김정은 위원장과 폼페이오 장관은 제2차 정상회담 사전 준비를 위해 조기에 실무협상을 개최하기로 합의했다. 북한 측 최선희 외무성 부상과 미국 측 스티븐 비건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실무협상 대표로 만나 제2차 정상회담의 날짜와 장소, 의제 등을 확정할 예정이다. 북한 측의 진전된 비핵화 조치와 ‘종전선언’, ‘제재 완화’ 등 미국 측의 ‘상응조치’에 대해서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