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 휴전협정을 전후해 남한이 북한에 파견한 공작원 가운데 일부의 명단이 처음으로 공개돼 최근 남북화해 분위기와 관련해 파장이 예상된다.

국회 통일외교통상위 소속 김성호(金成浩.민주당) 의원은 3일 북파공작원 양성.파견부대였던 HID(첩보부대) 소속 북파공작원 가운데 53-56년까지 활동했던 HID 1기-3기 366명의 명단을 생존 공작원중 1명으로부터 입수, 공개했다.

이번 명단 공개는 그동안 비공식적으로만 알려져왔던 북파공작원의 실체를 처음 입증하는 구체적인 물증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김 의원측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이 명단은 정보사령부가 `종결 공작원 명부`라는 이름으로 컴퓨터 용지에 기록한 것으로, 53년 처음으로 북파한 HID 교육대 1기생 150명, 2기생 144명, 3기생 72명의 명단이 수록돼 있다.

이들 가운데 적어도 232명은 휴전협정 체결 이후에도 북파공작원으로 활동했으며, 특히 2기생 김 모씨의 경우에는 53년2월15일 채용돼 56년 9월18일 해고될 때까지 총 1천311일간 공작원으로 활동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김 의원은 밝혔다.

명단에는 공작원의 성명, 생년월일, 본적, 공작형태, 소속대, 채용인, 해고인 등 북파공작원에 대한 기본적 신상명세 등이 구체적으로 기재돼 있으나, 이중 20명 정도는 원본의 보존상태가 부실해 신원확인이 불가능한 상태다.

당시 파견된 공작원의 평균 나이는 20대가 27%를 차지해 가장 많았지만 2기생중 이 모씨는 당시 나이가 14세에 불과했으며, 김 모씨는 52세로 최연장자였다.

또 공작원들은 전쟁고아, 넝마주의, 빈농 및 도시빈민 출신으로 소외계층이 대부분이었고, 출신 지역별로는 이북출신이 전체의 77%를 차지해 초기 북파공작원들이 월남 피난민 위주로 편제됐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김 의원은 지적했다.

김 의원은 `현재 이산가족 상봉과 관련, 납북자, 국군포로 등 특수이산가족 문제가 남북간 견해차이를 보이고 있는 부분이지만 북파공작원 문제는 아예 소외된 채 관심조차 갖지 않던 분야`라면서 `당시 이들 북파공작원은 본인들이 원해서 간 경우도 있지만 국가적 차원에서 일을 했던 사람들인 만큼 적절한 보상이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지난 72년 7.4남북공동성명 전까지 북파된 공작원 가운데 실종, 사망, 생포돼 귀환하지 못한 공작원 수가 7천 726명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면서 `최근 남한에 있던 비전향장기수 63명중 46명이 남파공작원인 것으로 드러난 만큼 우리도 북파공작원의 존재를 인정, 정보사가 가지고 있는 북파공작원 신상기록을 공개하고 북에 생존해 있을지 모르는 공작원들의 생존확인 노력을 기울이는 등 이 문제를 적극 공론화해야 할 시점`이라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정부의 한 관계자는 `북파공작원의 정확한 숫자 등 현황에 대해서는 전혀 파악되지 않고 있다`며 `문제가 제기된 만큼 이를 풀어나갈 올바른 방법을 모색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2000/10/02)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