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민족경제협력연합회(민경련) 단둥대표부 대표로 계봉길이 지난 1일 자로 부임한 것으로 확인됐다. 민경련 단둥대표부 부임은 5년 만이다. 부대표는 공청용, 김현철이 맡고 있다.

정통한 대북소식통은 15일 “상당 기간 비워뒀던 단둥대표부 대표로 김영철 통일전선부장 밑에서 일해온 계봉길이 나왔다”며 “베이징대표부 대표는 아직 임명되지 않은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통일부 당국자도 “단둥대표부가 철수된 적은 없었지만 최근 인사가 있던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2010년 ‘5.24조치’로 남북경협이 중단된 뒤 2013년 이후부터 민경련 단둥대표부는 대표 없이 명맥만 유지해왔다. 계봉길 신임 민경련 단둥대표부 대표는 2007년 10.4 정상회담 당시 방북한 남측 경제인들과 ‘민족경제협력위원회’(민경협) 소속 연구원 자격으로 만났다.

북한이 공석이던 중국 단둥대표부에 대표를 파견한 것은 당과 정부 조직 정상화 조치의 목적으로 풀이된다. 북한은 2016년 5월 7차 당 대회와 2016년 6월 최고인민회의 제13기 4차 회의를 거치면서 당.정 체제를 새롭게 구축했고, 최근까지 일련의 내부 검열과정을 진행해 왔다.

남북 경제협력을 담당하는 노동당 외곽 기구인 민경련은 2000년대 민족경제협력위원회(민경협)와 함께 남한 기업들의 대북교역 합의 창구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5.24조치’로 남북 경제협력이 중단되자 민경련의 활동은 미약했다. 

그런 민경련이 체제를 정비하고 있는 것은 4월 말 판문점 남북정상회담 이후를 대비하는 포석으로 풀이된다.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으로 대북제재가 완화될 경우, 남북경협이 본격화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남북관계가 재개되는 상황을 대비한다고 봐야겠다. 민경련 단둥대표부에 대표가 다시 왔다는 것은 제재완화와 그에 따른 남북경협, 북.중경협을 재개한다는 신호탄”이라고 진단했다.

또한 “당장 제재가 완화되지 않더라도 현지에서 조직정비, 체제 정비를 해야겠다는 생각으로 보인다”면서 “북한이 경협 관련 정보를 수집하거나, 우리 기업들이 당장 북한에 진출하지 못하지만 서로 대화는 할 수 있는 역할 등의 차원에서 의미 있는 움직임”이라고 주목했다.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인 ‘한반도 신경제지도구상’이 본격화되기 위해서는 북한과의 협력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민경련의 체제 정비는 남한에도 좋은 상황이다. 정부는 남북경협 재개를 조심스레 관망하고 있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지난 14일 중소기업중앙회가 주최한 포럼에 참석해, “남북협력과 이를 매개로 한 동북아 경제협력은 우리 중소기업에게 더 큰 성장과 발전의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며 “향후 우리 기업들이 안정적으로 남북경협을 추진할 수 있도록 환경을 마련하는 노력도 병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