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일 열린 고위급 남북 당국회담에서 중국 북한식당 여종업원 송환 문제로 이산가족상봉 문제가 합의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백태현 통일부 대변인은 15일 오전 정례브리핑에서 “북측이 기존 입장을 우리에게 다시 이야기하는 정도였다”며 “그걸 감안해서 ‘현재 사정에서는 이산가족문제를 바로 협의하는 건 남북관계가 좀 더 나간 다음에 이야기하자’는 정도였다”고 밝혔다.

고위급 남북 당국회담 당시, 정부는 설 계기 이산가족상봉을 꺼냈지만, 북측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은 것. 당시 북측은 여종업원 송환 문제를 이유로 들었다.

결국, 공동보도문에는 △평창올림픽 북측 참가를 위한 실무회담, △군사당국회담, △2차 고위급회담 등 3개 항만 포함됐다.

하지만 정부는 2항 “다양한 분야에서 접촉과 왕래, 교류와 협력을 활성화하며 민족적 화해와 단합을 도모하기로 하였다”는 문구에 이산가족상봉도 내포되어 있다고 기대하는 상황.

백 대변인은 “‘다양한 분야의 접촉, 각 분야의 회담에 포함되는 것으로 양해하자, 그리고 계속 남북관계를 논의하면서 진전시켜 나가자’고 했다”며 “남북 간에 서로 입장을 충분히 이야기했다. 앞으로 남북관계를 계속 진전시켜 나감에 따라서 또 추후 논의할 사안”이라고 설명했다.

여자 아이스하키 선수 남북단일팀 구성과 관련, 백 대변인은 “평창올림픽을 평화올림픽으로 만들겠다는 구상이 들어있다. 그렇게 (북측에) 제안했다. 그 방향으로 지금 협의가 이루지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구체적인 규모나 향후 일정에 대해서는 아직 합의가 안 된 상황이다. 추가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