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6일,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를 규탄했다. 

이날 ‘외교부 성명’을 통해, 정부는 “금일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는 작년 24발의 탄도미사일 발사와 지난 2월 12일 탄도미사일 도발에 이어 22일만에 이루어진 추가도발로서, 유엔 안보리 관련 결의에 대한 노골적이고 명백한 위반일 뿐 아니라 한반도 및 국제사회 전체의 평화와 안전에 대한 엄중한 위협인바, 정부는 이를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다. 

“최근 북한이 말레이시아에서 화학무기인 VX를 사용하여 김정남에 대한 반인륜적.반인도적 살해 사건을 저지른데 대해 국제사회가 경악하고 분노하고 있는 가운데 감행된 금번 도발은 북한 정권이 국제사회의 단합된 경고에 대해 아랑곳하지 않고 핵.미사일 개발에 대한 폭주를 계속하겠다는 무모함을 여실히 드러낸 것이다.”

나아가 “북한은 반복된 도발과 핵·탄도미사일 개발에 대한 광적인 집착은 스스로 고립과 자멸을 재촉할 뿐이라는 점을 깨달아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정부는 △안보리 결의 2321호 등의 철저한 이행과 우방국들의 독자 제재 강화, △확장억제 실행력 제고 조치 가속화 등 굳건한 한미연합방위태세로 핵·미사일 위협 억제 등을 대응책으로 제시했다. 

김관진 청와대 안보실장은 허버트 맥마스터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전화통화를 통해 북한의 거듭된 탄도미사일 발사를 규탄하고, 강력하고 실효적 대북 제재와 압박을 위해 양국간 공조를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도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과 전화통화를 통해 공조를 다짐했다. 

이에 앞서,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은 오전 9시 청와대 국가위기관리상황실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를 열어 “주한미군 사드 배치를 조속히 완료하여 북한의 핵·미사일에 대한 방어체제를 갖추”라고 지시했다. 북한의 이번 발사를 사드 배치에 활용하겠다는 의도를 분명하게 드러낸 것이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오전 8시53분께 회견을 통해 “북조선에 이에 대해 엄중하게 항의했다”고 밝혔다. 일본과 북한은 베이징 주재 대사관에 공사급 대화 채널을 유지하고 있다. 

일본 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가나스기 겐지 외무성 아시아대양국장도 이날 미국 측 수석대표인 조셉 윤 대북정책 특별대표와 전화통화를 미일은 물론이고 한미일 간, 그리고 유엔 무대에서 긴밀한 대북 공조를 다짐했다.

(추가, 12:40)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