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시민을 대상으로 무차별 발포한 전력이 있는 제11공수특전여단이 광주 한복판을 시가행진 하려한 계획이 21일 최종 취소됐다. 하지만 국가보훈처는 타 지역은 실시하지만 유독 '광주'만 군을 싫어한다는 식으로 설명해 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국가보훈처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6월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전국 7개 시.도에서 진행하고 있는 '호국보훈퍼레이드'의 광주지역 행사를 취소한다"며 "전국 시.도 '호국퍼레이드' 중 유일하게 광주지역만 퍼레이드가 취소되게 되었다"고 밝혔다.
광주 지역 등 시민사회가 11공수특수여단의 역사적 과오를 문제삼은 것임에도 보훈처는 정치적 논란이라며 마치 광주시가 군을 신뢰하지 않는 식으로 몰아붙인 것.
최정식 보훈처 홍보팀장은 이날 오전 국방부 정례브리핑에서 "2013년에도 동일하게 진행되어 동일한 형태의 동일한 코스와 내용으로 진행됐던 사항"이라며 "그때 당시에는 큰 논란은 없었다. 그러다보니 굉장히 당황스러운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그리고 "이번에는 11공수여단뿐만 아니라 지역 향토사단인 31사단에 대해서도 반대해 당황스러웠다"며 "해당 부대뿐만 아니라 광주시조차 도로 통제 등 행정 협조를 할 수 없다고 밝혔기 때문에 전국 시.도 가운데 광주지역에서만 퍼레이드가 열리지 않게 되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5.18 관련 단체들은 2013년 당시 11공수여단이 시가행진에 참가하는 줄 몰랐으며, 추가로 거론된 31사단도 5.18당시 집압전력이 있어 광주시 측에서 반대한 것이다.
2013년 당시 상황에 대해 최 팀장은 "충정로 일대로 해서 가장 큰 거리를 통제하면서 행사를 진행한다"며 "도로통제를 하다 보면 자연히 시민들이 알겠죠. 그런데 (몰랐다고) 얘기하는 것에 대해서는 저희도 굉장히 당황스럽다"고 말했다.
또한, 보훈처는 보도자료에서 "호국퍼레이드가 국가유공자의 희생.공헌을 기리기 위한 순수한 호국행사로 5.18민주화운동의 가치 훼손과는 무관하다"며 광주시 등이 정치적 논리로 막았다고 주장했다.
최 팀장은 '광주시민 등에게 유감을 표명할 의사가 없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정치권에서 논란이 되고 있기 때문에 이것에 대한 부분들은 최대한 정립을 하고 난 다음에 이야기를 드리겠다"며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잘못된 게 있으면 저희가 뭐 유감을 표명하든 사과를 표명하든 진행을 하겠다"고 즉답을 피했다.
'님을 위한 행진곡' 제창 불허에 이어 5.18 관련단체와 협의없이 당시 진압부대의 시가행진을 추진한 보훈처의 '5.18 민주화운동'에 대한 인식이 여실히 드러난 셈이다.

